카프로(대표 박승언)가 경영 개선을 통해 사업 재기를 노리고 있다.
카프로는 CPL(Caprolactam) 플랜트 가동을 재개하고 퇴직자 일부도 재고용하기로 결정했다.
CPL은 중국 수출이 2012년까지 연간 약 3만톤 수준을 지속했으나 중국이 대규모 설비를 갖추고 저가제품을 생산함에 따라 수출길이 점차 막혔으며, 오히려 가격경쟁력을 앞세운 중국산이 역수출되는 바람에 안정적이던 국내 수요마저 빼앗기기도 했다.
카프로는 CPL 생산설비 3개를 통해 연간 27만톤을 생산해 왔으나 2013년 1개, 2014년 1개 공장을 각각 멈췄으며 전체 생산능력의 절반 가량을 차지하는 나머지 1개 공장도 한때 가동률을 약 70%까지 낮추었다.
특히, CPL 단일 품목만 생산하기 때문에 대체제품 생산량을 늘리거나 신제품을 개발하는 식으로 포트폴리오를 다양화하는 것도 불가능했다.
이에 따라 경영 개선을 위해 명예퇴직 신청을 받아 100여명의 인력을 감축하는 등 공정을 개선하고 원가를 절감하기 위해 전사적인 노력을 기울였으며, 최근 저유가로 벤젠(Benzene), 암모니아 등 원료 가격이 하락한 것이 호재로 작용해 6월부터 생산을 멈춘 공장 2개 가운데 1개를 재가동하기로 결정했다.
아울러 퇴직자 가운데 업무 숙련도가 높고 복직을 희망하는 약 30명을 다시 채용하기로 했다.
카프로 관계자는 “지금도 적자를 보고 있지만 그동안의 노력으로 상당한 경영개선 효과를 봤다”면서 “이제 CPL 생산량을 늘리면 경영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판단이 섰다”고 강조했다. <이하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