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인천석유화학(대표 최남규)이 포스텍과 함께 미생물 분석을 기반으로 한 지능형 하·폐수 처리 솔루션 특허를 출원했다.
기존 하·폐수 처리시설은 운영자의 경험에 의존해 갑작스러운 수질 상태 변화 및 처리효율 저하 등에 대해 신속한 원인 파악에 어려움이 있었으나 새로 개발한 기술을 적용하면 하·폐수 처리 효율이 20% 이상 향상되고 에너지 비용도 약 10-15% 절감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또 고효율 미생물을 활용해 친환경적이며 최대 수백억원이 소요되는 하·폐수 처리시설에 대한 확장 투자 대체 효과도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새로 개발한 지능형 하·폐수 처리 솔루션은 △인공지능(AI) 기반 미생물 영상 이미지 분석 기술 △고효율 미생물 배양 및 DNA 기반 진단기술 △하·폐수처리시설 원격 관리 시스템 등으로 구성돼 있다.
AI 기반 미생물 영상 이미지 분석 기술은 하·폐수에 존재하는 다양한 미생물들의 영상 이미지를 정보화하고 빅데이터 분석, 딥러닝 기술 등을 적용해 미생물 종류와 분포 정도를 분석할 수 있다.
고효율 미생물 배양 및 DNA 기반 진단기술은 하·폐수 내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DNA를 추출·분석해 수질 변화를 신속하게 파악하고 처리가 어려운 오염물질 제거에 특화된 미생물도 대량 배양 및 활용할 수 있다.
해당 기술은 특정 오염물질 제거에 최적화된 미생물을 배양해 해당 오염물질 증가 시 즉시 투입하고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으며 하·폐수 처리 효율을 20% 이상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하·폐수처리시설 원격 관리 시스템은 미생물 영상 이미지 분석 데이터, 미생물 DNA 분석 데이터, 하·폐수처리시설 운영 데이터 등 축적되는 데이터에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 최신 기술을 적용해 이상 상황의 조기 감지 및 신속한 대응을 지원한다.
최남규 SK인천석유화학 사장은 “미세먼지, 폐기물 처리 등이 중요한 이슈로 대두되고 있고 환경문제 해결은 화학기업의 주요한 사회적 책임 가운데 하나”라면서 “앞으로도 보유역량 및 자산과 외부의 최신 기술을 접목한 친환경 기술 개발을 가속화하는 등 환경 분야에서 사회적 가치 창출을 이어나가겠다”고 강조했다.
SK인천석유화학은 2019년 초부터 지능형 하·폐수 처리 솔루션을 사내 폐수처리장에 적용해 하·폐수 처리 효율을 증대하는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앞으로는 공공하수처리시설에 대한 실증사업을 추진하는 등 지능형 하·폐수 처리 솔루션을 다양한 분야에 확대 적용할 예정이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