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잇따르는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는 제조상 결함을 비롯해 다른 나라보다 미흡한 안전관리가 원인이라는 해외 전문기관의 지적이 제기됐다.
글로벌 품질 인증·위험 관리기업인 DNV GL은 ESS 화재와 관련해 국내 보험회사의 의뢰로 화재 1건에 대한 심층 조사를 실시한 뒤 발표한 보고서에서 구체적인 사례나 제조기업을 명시하지 않은 채 작은 제조상 결함을 발견했다면서 “안전관리와 화재 예방 시스템이 미흡해 작은 결함으로 인한 사소한 오작동이 큰 화재로 번지는 것을 막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니콜라스 레논 아시아·태평양 지역 부사장은 “분석을 통해 한국의 안전기준과 국제안전기준 사이의 차이점이 두드러지게 나타났고 차이(한국의 안전기준 미흡)가 사소한 오작동을 더 빈번하게 만드는 원인이 될 수 있다”면서 “작은 고장이 큰 화재 사고로 이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한국 ESS 개발기업들이 안전 모니터링, 화재 예방 체계를 수립하는데 주력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국내에서는 2017년 8월부터 현재까지 2년여간 ESS 설비에서 화재가 총 28건 발생했다.
2017년 8월부터 정부가 합동조사 결과를 발표한 6월까지 1년9개월간 23건이 발생했고 정부 발표 이후 현재까지 4개월간 5건이 추가로 발생했다.
특히, 2019년 10월 5일 사이에 경남 하동(10월22일), 경남 김해(10월27일)에서 2건이 연달아 발생했다.
화재가 발생한 ESS에 들어가는 배터리는 LG화학, 삼성SDI가 생산했다.
정부는 6월 조사결과 발표 당시 화재 원인을 특정하지 못한 채 일부 제조 결함과 배터리 보호 시스템, 운영 환경 관리 미흡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고 발표했다.
배터리 생산기업들은 “배터리 자체 결함은 아니다”면서 관리 미흡 등 외부 요인에 따른 화재를 막기 위해 가동률 하향조정, 특수 소화시스템 등 예방조치를 취하고 있으나 별 효과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