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호석유화학(대표 박찬구‧백종훈)이 창립 이래 사상 최대 영업실적을 기록했다.
금호석유화학은 1분기 연결 기준 매출이 1조8545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51.3% 증가하고 영업이익은 6125억원으로 360.2% 급증했다고 밝혔다.
매출액은 기존 최대치였던 2011년 2분기의 1조7077억원보다 8.6%, 영업이익은 기존 최대치인 2011년 1분기의 2864억원보다 113.9% 증가했다.
합성고무 부문은 매출액 7659억원, 영업이익 2921억원을 기록했다. NB라텍스(NB-Latex) 수요가 꾸준했고 주력제품인 타이어용 합성고무도 호조를 나타낸 영향으로 파악된다.
2분기에도 NB라텍스 등 합성고무 주요제품의 호조가 계속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합성수지 부문은 매출액 4199억원, 영업이익 893억원을 기록했다.
자동차·가전·완구 등 전방산업의 수요 호조로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수익성이 향상됐고 PS(Polystyrene)도 수익성이 개선됐다.
2분기 역시 주요 원료인 SM(Styrene Monomer) 공급이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돼 제조업 성수기에 맞추어 컴파운딩용 ABS·PS 수요가 계속 호조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BPA(Bisphenol-A) 및 에폭시(Epoxy)를 중심으로 하는 페놀(Phenol) 유도제품 부문은 매출액 5316억원, 영업이익 1932억원을 기록했고, 기타 정밀화학과 에너지 사업부문의 수익성도 전반적으로 개선됐다.
금호석유화학은 주력 사업부문의 수익성을 기반으로 점진적인 체질 개선 노력을 통해 새로운 수익모델을 구축할 계획이다.
2020년에는 2차전지 핵심 도전재로 사용되는 CNT(Carbon Nano Tube) 연구부문에서 전기자동차(EV) 배터리용 CNT 소재의 개발 및 상업화에 성공하며 성장의 기틀을 마련했다.
금호P&B화학은 탄소중립 트렌드에 주목하며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및 수소전기자동차 소재인 에폭시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등 친환경 및 첨단기술에 대한 역량을 확충하고 있다. (강윤화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