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B(리튬이온전지) 소재 사업은 미국 시장의 중요성이 확대되고 있다.
센트럴글래스(Central Glass)는 LiB 전해액의 원료인 육불화리튬(LiPF6)을 건조 공정 없이 고순도로 생산하는 기술이 강점으로 평가된다.
첨가제 개발 분야에서도 강점을 보유하고 있으며 전해액 열화를 방지하고 장수명화 효과가 있는 첨가제 등 고성능화에 기여하는 기술이 북미 자동차용 LiB 메이저 파나소닉에너지(Panasonic Energy)의 배터리에 채용됨에 따라 일본과 미국 시장에서 전해액 판매가 증가했다.
파나소닉에너지는 북미 2번째 사업장을 신규 건설하고 2024년까지 일본에서 신형 배터리를 양산하기 위해 설비투자를 추진하고 있어 전해액 공급량이 증가하고 센트럴글래스의 수익기반도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일본과 북미 판매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유럽, 중국 판매량이 부진함에 따라 전해액 사업은 2023년 정체기를 맞이한 것으로 분석된다.
센트럴글래스는 전기자동차(EV) 최대 시장인 중국에서 LiPF6 합작공장 2곳을 가동하고 있다.
중국공장은 현지 전해액 메이저 Tinci에게 LiPF6를 공급하는 핵심 사업장이지만 시장이 얼어붙은 가운데 현지 전해액 생산기업이 용매와 전해질, 첨가제 자급화를 추진하는 등 경쟁력을 강화했으며 가격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유럽에서는 체코공장이 2만톤 이상을 생산하고 있으나 현재 주요 수요기업이 재고조정을 진행하면서 판매량이 감소했다.
센트럴글래스는 경기침체에 따른 최근 부진은 2024년 하반기 이후에 회복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으나 중국을 중심으로 시장구조 전환에 영향을 미치는 움직임이 관찰됨에 따라 파나소닉에너지와의 파트너십 확대로 수익기반을 강화하기 위해 난연성 첨가제 및 내저온성능 개선 첨가제 등 신제품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타이완 고순도 가스 생산설비 투자는 재고조정 중인 반도체 시장동향을 고려해 연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센트럴글래스는 일본 우베(Ube) 공장에서 불소가스를 알곤, 질소 등 가스로 희석한 고순도 불소혼합가스를 제조해 반도체 제조장치 클리닝용으로 공급하고 있으며 100% 자회사 Taiwan Central Glass를 통한 현지 생산을 위해 2022년 9월 신공장 투자를 발표했으나 메모리 반도체를 중심으로 반도체 수요 둔화가 장기화됨에 따라 2024년 완공 예정이던 투자계획을 재검토하고 있다. (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