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임금상승이 가장 큰 물가변동요인"
임금상승이 가장 큰 물가변동요인으로 지목됐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1998년 산업연관표를 이용한 물가 파급효과 분석' 자료에 따르면, 전산업에 걸쳐 임금이 10% 변동하면 소비자물가는 3.1%, 생산자물가는 2.8%의 변동압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환위기 이후 인원감축 등 구조조정 추진으로 임금투입비중이 줄어들기는 했지만 여전히 원가구성에서 임금이 차지하는 비중이 커 임금변동이 물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임금의 소비자물가 파급영향은 1995년 3.5%까지 상승추세를 보이다 외환위기 이후 임금 투입비중이 하락하면서 3.1%까지 떨어졌다. 공공요금 10% 변동시 소비자물가는 1.9%, 생산자물가는 1.6%의 변동압력을 받는다. 전력-수도-가스요금의 파급영향이 가장 크고 교통요금, 통신요금, 의료보험수가 등의 순이었다. 공공요금의 소비자물가 파급효과는 1995년 1.8%에서 1998년 1.85%로, 생산자물가는 1.5%에서 1.58%로 모두 높아졌다. 환율이 10% 변동하면 소비자물가는 1.8%, 생산자물가는 2.8%의 변동압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율 파급영향은 1995년까지 낮아지는 추세였으나 1998년 들어 다시 높아졌다. 환율상승으로 수입의존도가 1995년 10.9%에서 1998년 13.1%로 상승한데 주로 기인하고 있다. 주요 국내상품의 개별가격이 10% 변동할 때 물가의 파급효과는 소비자물가에서는 집세가 1.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외식비(0.9%), 교육비(0.9%), 직물제의료(0.6%), 채소(0.3%) 등의 순이었다. 수입상품의 물가파급효과는 원유가 소비자물가에 0.3%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장 컸다. <Chemical Daily News 2001/07/04>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에너지정책] 한국은행, 신ㆍ재생에너지 설비인증 지원 | 2011-10-04 | ||
[화학무역] 한국은행, 수출신용장 내도액 20개월째 감소 | 2002-08-19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백송칼럼] 한국은행과 부채왕국의 미래 | 2017-10-27 | ||
[백송칼럼] 한국은행을 적극 지지한다! | 2016-05-04 | ||
[백송칼럼] 한국은행 총재는 청와대 푸들이… | 2011-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