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 내수 감소에 황산은 타이트!
|
일본, 2003년 황 원료 수급 원활 … 재고 최저라인 25만톤 예상 일본 경제산업성에 따르면, 2003년 황(Sulfur) 및 황산(Sulfuric Acid) 수급은 원자력 발전 트러블로 화력발전용 C중유 증량을 위한 원유 처리량이 증가함에 따라 황 생산이 전년대비 6.5% 증가한 198만6000톤, 수요는 내수가 5.1% 감소한 76만7000톤, 수출이 13.8% 증가한 121만8000톤으로 합계 5.9% 증가한 198만5000톤을 기록할 전망이다.황산은 생산이 2.7% 감소한 653만7000톤, 내수가 0.2% 감소한 521만9000톤, 수출이 15.9% 감소한 120만톤으로 예상되고 있는데, 재고의 최저라인이 25만톤 정도로 추정되고 있기 때문에 수급 타이트가 우려돼 수출을 줄여야 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황 생산은 석유정제 중 회수가 전부인데, 2003년에는 원자력 발전 정지로 여름까지 C중유 생산이 증가하게 되며 Idemitsu 興産의 苦小牧 소재 정제설비가 재개돼 증산이 예상되고 있다. 수요면에서는 CPL(Caprolactam)용이 전년대비 무려 17.5%나 감소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내수 전체가 축소될 전망이다. CPL에서 황을 사용하지 않는 생산 프로세스 채용이 늘고 있고, CPL에 대한 중국의 반덤핑 문제 등에 따라 CPL의 수출감소가 예상돼, 황 수요 감소로 이어질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반면, 수량은 줄어들지만 이황화탄소 용에서 2자릿수 증가가 예상되고 있는데, 이는 이황화탄소의 동남 아시아 수출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황산 수급은 생산면에서 황 焙燒출하가 전년대비 7.5% 감소될 전망이며, 제련 가스 출하는 전년수준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는데, 동광석 입수난으로 증산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내수는 산화티탄용, 불화수소산용이 증가하고, 기타용은 감소될 전망이다. 황산의 수급밸런스는 2003년 상반기에 정기보수가 잇따르고 있어 재고가 최저 라인인 25만톤이 되고 있고, 타이트해진 상황이다. 표, 그래프: | 일본의 Sulfur 수급전망(2003) | 일본의 황산 수급전망(2003) | <Chemical Journal 2003/09/02>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반도체소재] JX금속, 한국 반도체 호황에 “함박웃음” | 2025-11-12 | ||
| [안전/사고] 시흥 접착제 공장에서 황화수소 누출 사고 | 2025-11-10 | ||
| [무기화학/CA] 차아황산소다, 중국산 반덤핑 판정 | 2025-09-29 | ||
| [석유화학] LDPE, 인디아 내수에 밀려 “하락” | 2025-09-29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무기화학/CA] 황산, 전략적 화학소재로 변신한다! | 2025-09-26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