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제품
|
국내 석유산업의 원유정제능력은 94년말 기준으로 일일 170만배럴 규모(세계 10위권)이다. 그리고 96년말에는 일일 약 243만5000배럴로 확대될 계획으로 있다. 이처럼 급속한 시설확장이 계획되고 있는 것은 지난 수년간 석유제품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시장현황 90년대 초의 급속한 석유 소비증가세는 최근들어 급속히 둔화되어 최근 3년간은 10%안팎의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요증가율은 개발도상단계를 넘어선 우리나라의 경제발전수준에 비추어 볼때 매우 높은 것으로 정유사들이 대규모 석유정제설비 증설을 추진하는 근거가 되고 있다. 유종별로는 산업용인 B-C유, 나프타, 수송용인 휘발유의 수요증가가 전체 석유제품 수요증가를 주도하였다. 이는 90년대들어 중화학산업의 설비증설과 승용차 보급의 급속한 진전이 초래한 결과이다. 산업, 발전부문 수요증가는 지속되는 반면 수송, 가정상업 부문의 수요증가율은 점차 둔화되고 있는 것이 최근 석유수요의 특징이다. 특히 전력수요 증가에 따른 발전용 석유 수요증가가 향후 석유 수요추이의 큰 변수로 남아 있다. 표, 그래프 : | 정유사별 내수 판매현황(1994) | 석유정제시설 확장계획 | 석유제품 수요현황(부문별) | 국내석유제품 수요현황 | 석유 수급계획 | 장기 수요전망 및 주요지표 | <’96 화학연감>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에너지정책] 정유4사, 석유제품 가격 인상 자제하라! | 2025-11-14 | ||
| [석유정제] 정유4사, 석유제품 수출 확대 기대 | 2024-12-18 | ||
| [석유정제] 석유제품, 수출 호황에도 힘 잃어… | 2024-12-06 | ||
| [석유정제] 석유제품, 생산‧수출침체 해소하라! | 2024-12-05 | ||
| [석유정제] 정유4사, 석유제품 수출량 “최대” | 2024-10-2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