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MAI, 2002년 소비 265만톤에 수입 150만톤 … 코스트 중동 유리 중국의 EG(Ethylene Glycol) 수요가 2002년 25% 증가하면서 미국을 제치고 EG의 최대 소비국가로 부상할 전망이다.CMAI에 따르면, 중국은 2002년 EG 265만톤을 소비하고 그 중 150만톤을 수입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중국은 2004-05년 2개의 대규모 EG 플랜트가 가동됨에도 불구하고 2006년 EG 수입량이 220만톤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중국에는 코스트가 낮은 중동산 EG가 대량으로 공급되고 있는데, 중동은 중국에 EG를 대량 공급함으로써 EG 가격조정에서도 우위를 차지할 것으로 보이고 있다. 반면, 미국과 서유럽, 일본의 EG 생산기업들은 EG 시장이 아시아로 옮겨감에 따라 EO(Ethylene Oxide) 유도제품 생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아시아에서는 EG를 주로 Polyester 생산에 투입하고 있다. 세계 EG 시장은 중국의 수요 및 가격 협상력이 확대되면서 아시아 위주로 재편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사우디의 중국 EG 수입시장 점유율은 2001년 상반기 27%로 2배로 상승했으며, 수출량은 23만1000톤에 달했다. EG 생산 코스트는 천연가스를 원료로 사용하고 있는 중동, 캐나다, 기타 지역이 매우 낮은데, 중국에서는 EG 수입가격이 하향 안정되고 공급도 안정적일 수 있게 됨으로써 많은 자본비용이 들어가고 판매가격이 높은 EG 설비투자를 지양하고 중동산 수입으로 전환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 중국은 Polyester Fiber 및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병 시장이 급성장함에 따라 EG 수요가 1997년 이후 연평균 25% 증가했으나 생산능력은 단지 9% 증가에 머물렀다. 반면, 미국뿐만 아니라 서유럽, 일본은 EG 수출에서 수익성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EG 수급이 타이트하고 수익이 극대화되는 사이클이 보통 18개월을 주기로 반복됨으로써 중동을 제외한 다른 나라들은 수익을 투자로 전환할 수 있는 충분한 기간이 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2004년에는 세계 EG 수급이 타이트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란의 EG 플랜트 건설이 차질을 빚고 있기 때문이다. National Petrochemical은 2건의 EG 프로젝트를 지연시키고 있어 계획보다 1년 늦은 2005년 및 2006년 가동에 들어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NPC는 Bandar Imam에 EG 30만톤, Bandar Asaluyeh에 40만톤 플랜트를 건설할 계획이다. EG 프로젝트 지연에 따라 2005-06년에는 세계 EG 가동률이 93%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1989년 89% 이후 최고로 높은 가동률이다. CMAI는 2006년까지 세계 EG 수요량이 연평균 5.7% 정도 신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EG 생산능력 확대가 2005년부터 수요증가를 앞질러 가동률이 90% 정도에 머물 것으로 보고 있다. 북미는 EO 유도제품 생산에 집중함으로써 앞으로 2006년까지 EG 수요가 연평균 2.8% 증가해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내고, 경제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동유럽과 아프리카 수요는 연평균 16.3%, 14.5%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동유럽 및 아프리카 시장은 아직 절대규모가 상대적으로 작지만 점진적으로 세계시장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할 것으로 보이 있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EG가 Polyester 섬유의 수요회복에 의지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2003년에도 Polyester 수요가 2001년의 수요신장률 3-4%보다 더 높지 않으면 정상수준을 회복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표, 그래프: | EG 신증설 현황 | <Chemical Journal 2004/02/19>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국제유가] 국제유가, 미국-중국 갈등 “하락” | 2025-05-08 | ||
[무기화학/CA] 요소, 중국이 수출규제 완화한다! | 2025-05-08 | ||
[배터리] K-배터리, 중국에 계속 밀려난다! | 2025-05-07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페인트/잉크] TiO2, 중국산 공급과잉 전환에 친환경 프로세스 전환한다! | 2025-05-02 | ||
[에너지정책] 중국의 화학산업 혁신 ①, 그린 화학제품 생산 본격화 세계 최초 바이오제조 “성공” | 2025-05-02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