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S, LG 개발완료 “상업화”
|
Idemitsu-Dow와 경쟁 … 아직 시장성 작아 출시는 연기 LG화학(대표 노기호)이 흑자품목으로 알려진 SPS(Syndiotactic Polystyrene) 개발을 완료하고 시장진입을 남겨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주목받고 있다.LG화학이 SPS를 개발할 수 있었던 것은 단일활성점 촉매기술을 기반으로 한 메탈로센 촉매기술이 있었기에 가능했던 것으로 알려져 부러움을 사고 있다. 단일활성점 촉매기술로 고분자 구조를 정밀하게 제어함으로써 특정한 물성을 자유롭게 구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PE(Polyethylene)와 PP(Poly-propylene) 등 각종 범용소재를 고성능화할 수 있고 고가의 소재를 값싸게 대체하며 정보전자소재, 광학소재 등에 필요한 새로운 물성과 용도를 창출해 나갈 수 있는 자신감을 부여했고, 재활용이 어려운 기존 수지들을 대체해 환경친화적인 제품을 생산할 수 있게 됐다. 표, 그래프 | LG화학의 SPS 계열제품 | <화학저널 2004/4/26>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화학경영] LG화학, 석유화학 부진으로 신용등급 강등 | 2025-11-18 | ||
| [배터리] LG에너지, 2027년 ESS용 LFP 양산한다! | 2025-11-17 | ||
| [자동차소재] LG화학, EV 소재 기술 컨퍼런스 개최 | 2025-11-14 | ||
| [배터리] LG화학, 미국에 양극재 중장기 공급 | 2025-11-14 | ||
| [배터리] LG에너지, 항공우주용 배터리 시장 진출 | 2025-11-1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