華東지구 중심으로 전력난 심각 … 장기화되면 경제성장 걸림돌 중국은 2003년 여름 이후 심각한 전력 부족에 허덕이고 있으며 앞으로 중국경제의 성장신화를 뒤흔들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이미 華東지역을 중심으로 많은 제조기업들이 갑작스런 정전이나 전력 공급중지에 따라 생산계획에 중대한 차질을 빚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중국은 2008년 북경올림픽이나 2010년 상하이 만국박람회가 열릴 때까지 고성장이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었으나 전력 부족이 성장률을 둔화시켜 일반전망이 통용되지 않을 수도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일본 에너지경제연구소(IEEJ) 국제협력 프로젝트부 석유ㆍ천연가스그룹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은 2003년 발전 전력량이 1조9100KW로 2002년에 비해 15.3% 증가했고 개혁정책을 취했던 1978년에 비해서는 무려 7배나 증가했다. 그러나 전력 소비량은 전체의 68.6%를 차지하는 공업부문에서 크게 증가했고 전력을 많이 소비하는 야금이나 비철금속, 화학, 건축자재 산업 소비량이 651억KW로 증가함은 물론 가정부문 소비량도 14% 이상 증가했다. 결국 전력 수요증가를 공급이 따라가지 못해 2003년에는 전국 34성ㆍ시 가운데 21성ㆍ시에서 일시적인 정전이나 지속전력 이용제한 실시 등 전국적인 전력 부족사태에 빠지고 있다. 전력의 수급 밸런스가 가장 악화된 곳은 상하이를 포함한 華東지역으로, 1995년에는 발전량과 소비량이 거의 균형을 이루고 있었으나 2002년에는 발전량 3000억KW에 소비량이 3250억KW로 250억KW의 공급부족 사태가 발생했고 2003년에는 차이가 더욱 벌어졌다. 중국 국가전력감독관리위원회는 2004년 중국 전체에서 2000만KW가 부족하고 이 가운데 華東지역의 부족량이 1100만-1500만KW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을 발표했다. 華東지역은 2003년 이상으로 전력 부족상태에 빠질 가능성이 높아 상하이는 2004년 여름 20%의 전력 부족사태에 빠질 것이라는 소문도 떠돌고 있다. 중국의 전력 공급부족 요인은 크게 3가지로 첫째는 정책 및 예측의 잘못으로 중국정부가 전력 공급이 균형을 이루고 있다고 오판해 과거 3년 동안 신규 전원개발을 거의 인가하지 않았다는 점이 지적되고 있다. 두번째는 예상을 웃도는 경제성장으로 산업용은 외국기업의 중국 생산이전, 가정용은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가전제품의 판매가 증가하면서 전력 수요가 매우 빠르게 증가했다는 점이 지적되고 있다. 세번째는 기상변동으로 가뭄과 고온이 전력의 공급과 수요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중국은 2005-2006년에는 전력 부족문제가 해소될 것이라는 시나리오를 그리고 있으나 너무 안이하다는 견해가 많다. 중국은 2003년 상반기에 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9.1%의 GDP 성장률을 기록했으며, 2004년 1/4분기 GDP 성장률도 9% 내외가 확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앞으로는 예상했던 성장률을 전력 부족이 저해할 가능성이 크게 나타나고 있다. 중국의 가격 경쟁력이나 저렴한 노동력, 급성장하는 시장매력 때문에 많은 일본기업들이 중국과 거래를 확대하거나 중국에 진출하고 있으나, 기대한 만큼의 성과를 얻을 수 있을지 불투명해지고 있다. <화학저널 2004/05/03>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국제유가] 국제유가, 중국경제 낙관론 “들썩” | 2025-01-03 | ||
[산업정책] 중국경제, 성장률 5% 미달했다! | 2024-08-09 | ||
[석유화학] 석유화학, 중국경제 타고 회복한다! | 2021-03-22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산업정책] 화학기업, 중국 전력난이 좌우한다! | 2022-09-23 | ||
[안전/사고] 화학산업과 코로나19, 중국경제 침체 가속화… 화학산업 타격 막대하다! | 2020-03-13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