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공급부족에 중국 공급과잉 “맞짱” 대부분의 아닐린(Aniline) 메이저 생산기업들은 Nitrobenzene Hydrogenation 프로세스를 이용하고 있으며 세계 Aniline 생산능력은 2003년 350만톤으로 전년대비 약 30% 증가했다.세계 아닐린 생산은 주로 미국, 서유럽 및 일본에 집중돼 있으며 3국의 생산능력이 전체의 30%, 33%, 10%를 차지하고 있다. Karoon Petrochemical은 이란에 아닐린 30만톤 플랜트를 건설할 계획이며, 일본의 Tosoh는 2005년 3월 체코의 Borsod Chem MCHZ 기술을 이용한 중국 Nanyang 소재 15만톤 플랜트 완공을 눈앞에 두고 있다. 또한 BASF 및 Huntsman은 중국기업과 합작으로 15만톤 플랜트를 건설해 2005년 4/4분기 가동에 들어갈 계획이다. 세계 아닐린 소비 역시 미국, 서유럽 및 일본에 집중돼 있으며 3국이 전체 소비의 약 80%를 차지하고 있다. SRI에 따르면, MDI 수요강세에 힘입어 세계 아닐린 수요는 2005년 약 290만톤에 달하고 가동률은 약 80%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표, 그래프 | 아닐린 수급동향 | 니트로벤젠/아닐린/MDI 생산능력 비교(2003) | 아닐린 수입동향 | 세계 Aniline 메이저(2003) | MDI 수요추이 | 중국의 Aniline 수요 전망 | 중국의 Aniline 생산능력 | 중국의 Aniline 소비량 | <화학저널 2005/1/17·24>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환경] 온실가스, 한·중 배출 감축 “파격” | 2015-07-01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에너지정책] 한·중·일 구조개편 전략 정유·석유화학 구조조정 동북아 삼국지를 재연할까? | 2022-04-01 | ||
[폴리머] PVC, 인디아가 신성장동력 부상 한·중·일 삼국지 재현한다! | 2021-06-04 | ||
[전자소재] 5G용 화학소재 개발방향 ①, 한·중·일 신삼국시대 통신은 한국이 앞섰다! | 2019-07-26 | ||
[화학무역] 석유화학, 한·중 FTA 효과 작다! | 2016-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