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재제조산업 육성 본격화 … 에너지ㆍ자원 절약효과 극대화 기대 경제정책조정회의는 4월1일 산업자원부가 상정한 <재 제조산업 활성화방안>을 논의하고 에너지 절약, 원자재 등 자원절감 및 고용효과가 높은 재 제조산업을 적극 육성키로 결정했다.재 제조(Remanufacturing)는 사용(Used)한 제품을 체계적으로 회수해 분해, 검사, 부품 교체 및 조정, 재조립 과정을 거쳐 신제품과 거의 동일한 수준으로 재상품화하는 것을 말한다. 이에 따라 산자부는 국내 재제조산업 도입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재제조 제품ㆍ부품에 대한 품질관리ㆍ품질인증시스템 구축, 시범사업 추진, 전담연구기관 등을 운영하고 2005년 관련법령의 개정을 추진키로 했다. 재제조는 이미 사용한 제품이나 부품을 회수해 신제품 수준으로 재상품화하는 것으로 원재료, 노동력, 에너지 측면에서 약 80%의 가치를 복원할 수 있으며, 재료를 녹이는 등 물리적 성질을 변화시켜 다른 제품의 원료로 사용하는 재활용(Recycling)에 비해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세계적으로는 자동차부품(교류발전기ㆍ스타트모터ㆍ자동변속기 등), 토너/카트리지, 복사기, 인쇄기, 일회용카메라 등 50여개 품목이 재제조되고 있다. 세계 유명 자동차 메이커들은 대부분 재제조라인을 운영하고 있으며, 미국 재제조산업은 7만3000여개 관련기업의 매출이 530억달러에 달하고 있다. 독일의 다임러벤츠, BMW, 폭스바겐 등도 A/S 시장에서 품질이 좋으면서 가격이 신품보다 싼 재제조부품 공급을 위해 재제조 생산라인을 직접 또는 OEM으로 운영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도요타, 혼다, 닛산 등을 중심으로 환경문제에 대한 사회적 요구 및 고객의 차량유지비 절감을 통한 고객서비스 강화 차원에서 순정부품 유통체계를 적극 활용해 시장에 참여하고 있다. 재제조제품의 품질은 신제품과 같은 수준이나 가격은 50-75% 수준으로 메리트가 있고, 자동차ㆍ복사기 등의 A/S 시장에서 재제조의 제품(부품)이 가격이 비싼 신제품 및 부품보다 경쟁력이 큰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 재제조제품의 에너지 및 원재료 사용량은 신제품의 9-14%에 불과해 에너지 및 자원절감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화학저널 2005/04/07>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배터리] 블랙매스, 재활용 투자 활성화 기대 | 2025-03-24 | ||
[산업정책]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 활성화 기대 | 2024-09-05 | ||
[에너지정책] 정부, 친환경 석유대체연료 활성화 | 2024-07-30 | ||
[바이오연료] SAF, 국내시장 활성화 기대하라! | 2024-04-18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배터리] 배터리, 국내 재활용 시장 활성화 | 2024-05-24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