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급제품 미개발 장기 수요전망 밝아 … 아직까지 대부분 수입의존 중국은 1970년대 이후 과학기술의 발달로 형광증백제(Fluorescent Whitening Agent) 기술도 급속도로 발달했으나 선진국에 비해서는 크게 뒤떨어져 고급제품 위주로 수출수요가 증가하고 있다.중국은 주로 저급 그레이드나 일반용으로 사용되는 범용제품을 생산하고 있어 최근 수요가 급격히 늘어난 고급제품은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중국이 주로 사용하는 형광즉백제는 수용성 증백제 VBL로 VBL이 전체 생산량의 70%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불용성 제품인 DT는 주로 합성섬유 및 Polyester Fiber에만 사용되고 있으며 전체 생산량의 10-15%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은 최근 CXT, ER 및 CBW 등 몇몇 새로운 고급 형광증백제를 개발해 생산하고 있다. CXT는 VBL보다 백색도(Whiteness)가 2-3배 가량 높은 Stilbene 계열 제품으로 내광성(Fastness to Light), 내알칼리성 및 염소표백 저항성이 뛰어나며, 다양한 고온 산소표백 프로세스에서 안정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주로 셀룰로오스(Cellulose) 섬유, 실크 및 Polyamide 섬유의 증백제로 사용되며 대체로 VBL의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인식돼 있다. 주요 생산기업에는 Liaoning Fushun Dyestuff Chemical Plant, Yantai Chlor-Alkali Plant, Hubei Laohekou Chemical Complex, Henan Anyang Yingdi 및 Shanghai Auxiliaries Manufactory 등이 있다. ER은 DT의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DT에 비해 백색도가 10배 가량 높고 세탁견뢰도(Fastness to Washing), 내광성 및 내승화성(Fastness to Sublimation)이 우수하다. 또한 다양한 표백(Whitening) 프로세스에서 안정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다른 제품이 대체할 수 없는 새로운 타입의 제품이다. 중국에서 ER의 원료인 o-Toluic Nitrile 및 Terephthalic Aldehyde가 생산되면서 최근 중국의 ER 생산능력이 급속도로 확대됐으며 2003년에는 약 1000톤에 달했다. 이에 따라 생산 프로세스 및 제품의 품질도 몰라보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ER 생산기업으로는 Guangzhou Jianhong, Zhejiang Jinhua Dyestuff Chemical Plant, Yantai Chlor- Alkali Plant 및 Beijing Textile Assistants Plant 등이 있다. CBS 역시 물성이 뛰어나며 세제용품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저온표백에 유리하다. 또한 생물학적으로 분해되기 때문에 환경오염을 일으키지 않아 환경친화적인 제품으로 알려져 있다. 중국은 Ciba-Geigy가 CBS를 독점적으로 생산하고 있으며 원료인 4,4‘-Dichloro-Methyl Diphenyl 합성기술의 복잡성으로 인해 아직까지 업그레이드 제품은 생산되지 않고 있다. 중국은 1990년대 중반 CBS를 개발해 상업화하는데 성공했다. FP는 주로 플래스틱 슬러리(Slurry) 컬러링(Coloring)에 이용되기 때문에 품질규격이 엄격하다. 소비량은 비교적 적지만 마진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중국에서는 아직 생산되지 않고 있다. OB-1도 플래스틱 컬러링에 이용되는데, 내열성 및 내광성이 뛰어나고 Polyester, Polyimide, PE(Poly- ethylene), PVC(Polyvinyl Chloride), PS(Polystyrene) 및 PP(Polypropylene) 등에 이용되고 있다. OB-1은 합성루트가 다양하고 합성루트마다 사용되는 원료가 다른데, 주로 사용되는 원료는 4,4‘-Stilbene Dicarboxylate이다. 그러나 원료 합성과정이 복잡해 아직 중국에서는 OB-1이 생산되지 않고 있으며 소비량도 비교적 적은편이다. 그러나 1998년 몇몇 연구기관들의 노력으로 원료합성 기술에 진전이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Methyl Benzoic Acid가 Sulfur Oxidative Dimerization을 통해 원료를 생산하는데 이용되고 있는데, Sulfur Oxidative Dimerization 프로세스는 반응조건이 까다롭고 황화수소가스(Hydrogen Sulfide Gas) 취급이 어려운 단점이 있는 반면, 다른 합성루트에 비해 코스트가 낮은 장점이 있다. 나프탈렌(Naphthalene) 고리로 연결된 Dibenzoxazole 컴파운드인 KCB는 중국에서 거의 생산되지 않으며 수요도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료 합성과정이 복잡하고 원료인 1,4-Naphthalic Acid 생산량이 적어 가격이 높기 때문이다. Baoshan Iron & STeel Grou이 1,4-Naphthalic Acid의 원료인 1-Methyl Naphthalene를 생산하고 있으나 공급량이 극히 적으며 분리(Separation) 및 정제(Purification) 기술에 기술적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중국은 몇몇 기업들이 1,4-Napthalic Acid를 생산하는데 1-Methyl Naphthalene을 원료로 이용하고 나아가 KCB를 생산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EBF 및 OB는 티오펜(Thiophene) 고리로 연결된 Dibenzo-Xazole 컴파운드이다. EBR는 염색견뢰도(Fastness) 및 상승효과가 뛰어나며 주로 Polyester 섬유, Polyamide 섬유, Acetate 섬유, 면 및 모직물 등에 사용되고 있으나 가격이 비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주요 생산기업은 Shanghai Assistant Plant, Wuhan Chemical Assistants Plant 및 Henan Anyang Dyestuff 등이다. OB는 EBF보다 가격이 높으며 중국에서는 아직 생산되지 않고 있다. <화학저널 2005/07/12>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반도체소재] 화학소재, 중국도 반도체용 자급화 | 2025-09-04 | ||
[합성섬유] 스판덱스, 중국이 바이오화한다! | 2025-09-04 | ||
[아로마틱] 중국, 페놀 반덤핑관세 5년 연장 | 2025-09-03 | ||
[석유화학] LLDPE, 중국 회복 기대에 올랐다! | 2025-09-01 | ||
[화학경영] 대한유화, 중국 구조조정 수혜 | 2025-08-27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