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머, 수출감소 뚜렷 “고전”
|
10월 수출 전반적 침체 … 중국의 폴리머 자급률 상승으로 국내 폴리머(Polymer) 수출이 10월 전반적인 감소세를 보였다.폴리머 수출은 9월 53만5834톤에서 10월 46만9352톤으로 12.4% 감소했으며 특히, PP(Polypropylene) Homo 그레이드, GPPS(General Purpose Polystyren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등의 수출이 18.8%, 18.0%, 22.9% 감소해 부진을 면치 못했다. 다만, HDPE(High-Density Polyetylene), HIPS(High-Impact Polystyrene),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등 고부가가치제품 수출은 5.8%, 5.7%, 4.8% 감소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에서는 Shanghai Secco의 PE 60만톤, PP 25만톤, PS 30만톤 플랜트와 BASF-YPC의 Nanjing 소재 PE 40만톤 플랜트가 6월말 상업가동에 돌입했다. 또 CSPC(CNOOC-Shell Petrochemical)의 Guangdong, Daya Bay 소재 HDPE 20만톤, LDPE 24만톤, PP 24만톤 플랜트도 2006년 1월 상업가동을 예정하고 있어 중국의 폴리머 수입 감소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표, 그래프: | 국내 폴리머 수출동향(2005) | <화학저널 2005/12/08> |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EP/컴파운딩] 폴리머, 도전성으로 고압 콘덴서 개척 | 2025-11-19 | ||
| [바이오폴리머] PTTGC, 바이오 폴리머 공급 확대… | 2025-11-17 | ||
| [화학무역] 폴리머, 말레이지아 수출 확대 “기대” | 2025-10-28 | ||
| [첨가제] 첨가제, 폴리머 생산 감소로 타격 | 2025-09-23 | ||
| [식품소재] 대체육, SAF에 폴리머까지 “눈독” | 2025-07-2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