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집증후군, 음이온ㆍ광촉매로 해결
|
특허청, 공기청정기 특허출원 59% 증가 … 여과기술이 297건으로 55% 새집증후군과 웰빙 트랜드에 따라 공기청정기 수요가 증가하고 특허 출원도 늘고 있다.특허청에 따르면, 공기청정기 특허는 1999-2004년 5년간 총 863건이 출원됐는데 1999년에는 32건이 출원됐고 2001년에는 61건, 2002년 160건, 2003년 325건이 출원됨으로써 공기청정기 관련 특허 출원은 연평균 59% 증가했다. 총 863건 중 내국인 출원은 834건인 96.6%으로 생활환경 개선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이 반영된 것으로 판단된다.
공기청정기는 오염된 공기를 맑게 걸러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정화방식에 따라 기계식, 전기식 및 복합식으로 구분되고 있다. 기계식은 팬식으로 본체에 설치된 팬이 공기를 강제적으로 흡입하고 공기의 오염물질이 필터에 의해 여과ㆍ제거되는 방식이고, 전기집진 방식은 전기적인 방전원리를 이용하는 것으로 공기의 오염물질을 이온화시키고 집진판에 흡착시켜 공기를 정화하는 방식이다. 복합식은 전기ㆍ여과재 집진장치라고도 하는데 기계식과 전기집진방식을 모두 갖춘 방식이다. 한편, 공기청정기에 사용되는 필터는 집진필터, 탈취필터, 항균필터, 촉매필터 등이 있다. 집진필터는 HEPA(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필터와 ULPA(Ultra Low Penetration Air) 필터로 나뉘는데 각각 0.3㎛ 및 0.15㎛의 초미세 입자를 99.9% 이상 제거할 수 있는 고기능으로 많이 사용된다. 탈취필터는 활성탄(Active Carbon)을 필터 소재로 사용해 악취 등을 걸러낸다. 항균필터는 Catechin, Chitosan, 노송나무로부터 추출한 천연오일 등 항균기능, 항바이러스 기능을 가진 천연성분을 필터에 적용한 것이다. 촉매필터는 광촉매, Plasma촉매, Halogen촉매 등을 필터에 사용한 것으로 악취성분을 촉매작용에 의해 무취성분으로 분해시키는데, 새집에 사용하는 자재에서는 배출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인 벤젠(Benzene), 톨루엔(Toluene), Chloroform, 아세톤(Acetone), Formaldehyde, Styrene 등의 발암물질과 오존, 미세먼지, 일산화탄소(CO), 이산화탄소(CO2) 등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기능을 한다. 사람이 짧은 기간 오염에 노출되면 두통, 눈ㆍ코ㆍ목의 자극, 기침, 가려움증, 현기증, 피로감, 집중력 저하 등의 증상이 생길 수 있고, 오랜 기간 노출되면 호흡기질환, 심장병, 암 등의 질병이 나타날 수도 있다. 표, 그래프: | 공기청정기 관련 내외국인별 특허출원현황 | <화학저널 2005/12/16> |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산업정책] 건축자재, 새집증후군 규제 강화 | 2013-10-21 | ||
| [환경] 환경연구원, 새집증후군 유발물질 조사 | 2011-12-15 | ||
| [건축소재] 새집증후군 해방 가능할 것인가! | 2007-06-19 | ||
| [건축소재] 새집증후군 예방위해 TAB 의무화 | 2006-12-20 | ||
| [환경] 새집증후군 예방 환기시스템 주목 | 2006-02-2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