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제, 친환경제품 각광받는다!
|
환경부하 낮아야 인기 … DMSO는 LCDㆍLSI용 수요 호조 일본에서 저VOC 도료 등 환경대응형 도료·인쇄잉크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용제분야에서도 친환경적인 제품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도료ㆍ인쇄잉크 생산은 예년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나 초산에틸(Ethyl Acetate)이나 MEK(Methyl Ethyl Ketone)은 특수 Gravure Ink, 연포장재용을 중심으로 Toluene, Xylene을 대체하는 환경대응형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중국을 중심으로 한 아시아에서도 일본계 소비기업의 진출 등을 배경으로 환경부하가 낮은 용제 수요가 신장하면서 일본과 마찬가지로 수급타이트가 심화되고 있다. 대표적 용제 DMSO(Dimethyl Sulphoxide)는 유기·무기화합물을 용해시키는 안전성이 높은 비Proton계 극성용제로 액정표시소자(LCD)나 대규모 집적회로(LSI)의 박탈제 및 세정제로서 디지털가전의 전자재료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 메탄올(Methanol)이나 황화수소 등을 원료로 하는 합성 Vargin제품과 함께 수요기업의 환경보전 경향이 강해져 전자재료 용도를 중심으로 폐액을 회수·정제해 재이용하는 움직임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신규 용도로는 염화메틸렌 대체용제로서 도료의 박탈제나 기계 세정제용 분야에서 시장을 개척하고 있다. DMSO는 극성이 높고 무색투명해 흡습성이 있는 용제로 각종 무기 및 유기화합물에 대해 강한 용해력, 침투성, 또한 반응용매로서 기존의 용제에 없는 특성을 보유하고 있다. 일본시장의 수요비중은 전자재료가 60% 이상을, 수지합성 용해제, 염ㆍ안료 용해제가 각각 15%를 차지하고 있으며, 의약·농약중간체 합성 용제용은 소비기업의 해외진출에 따라 10%로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다. 일본의 DMSO 생산기업은 Toray Fine Chemical이 유일하며 합성제품은 Chiba 공장 생산능력이 1만톤이다. Tokai의 회수·정제설비는 생산능력이 1만2000톤으로 최신 재활용설비를 2004년 4월부터 가동했다. 아시아에서는 액정 생산량이 매년 증가하고 있는 타이완, 한국용을 중심으로 시장이 확대되고 있으며 특히 타이완에서는 회수·정제에 따른 재활용품을 사용하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타이완에서는 Toray Fine Chemical의 기술제공으로 현지 화학기업이 2000톤 설비를 가동하고 있다. <화학저널 2005/12/22>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폴리머] 복합소재, 친환경제품 공급 본격화 | 2025-10-22 | ||
| [석유화학] 톨루엔, 용제‧코팅 부진 지속에… | 2025-09-18 | ||
| [나노소재] CNF, 용제 분산체로 용도 확대 | 2025-09-11 | ||
| [석유화학] 톨루엔, 용제‧코팅도 조용하다! | 2025-07-17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폴리머] PP, 친환경제품‧프로세스 “승부” | 2025-07-2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