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LPG 수급구조 차이 “확연”
|
Shanghai 용도ㆍ공급소스 다양 … Pearl River Delta는 수입의존 중국 LPG 시장은 Shaghai와 Pearl River Delta의 수급구조가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중국 LPG(액화석유가스) 진흥센터가 중국의 Shanghai 지구와 Pearl River Delta 지구의 LPG 사용실태 및 소비구조를 조사해 발표한 바에 따르면, 양지구 모두 중국경제를 견인하면서 LPG의 수급구조가 크게 달라지고 있다. 중국은 LNG(액화천연가스) 기지의 건설을 중심으로 천연가스를 보급할 것으로 보여 앞으로 LPG, LNG간의 경쟁격화나 LPG의 교외 보급이 가속화되는 등 새로운 구조변화가 일어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중국의 LPG 시장은 경제성장이나 환경오염이 심각해지면서 석탄에서 연료를 전환해 급속도로 확대되고 있으며, 2004년 수요는 전년대비 10% 증가해 1878만톤으로 일본 수요에 필적하는 규모로 성장했다. 중국은 수요의 3/4을 수입 LPG에 의존하는 일본과는 달리, 2/3을 중국 정유공장에서 생산하고 있다. 그러나 경제발전이 진행되는 남부지구에서는 늘어나는 수요에 비해 LPG 생산량이 부족해 LPG의 수입량이 급속히 늘어나고 있다.
Pearl River Delta 지구는 Guangdong지역 에너지 소비의 중심을 이루고 있으며 2003년 LPG 소비량이 350만톤을 기록했다. Pearl Raver Delta 지구에서는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장작이나 연탄이 LPG로 전환되고 있으며 LPG 사용세대비율이 83%로 기타 에너지에 비해 월등한 수준을 보이고 있다. LPG 소비비중은 민생용이 63%, 상공업용이 37%을 기록했고 자동차용은 매우 적은 편이다. 소비의 90%는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앞으로도 Guangdong지역은 LPG 수요 신장이 꾸준할 것으로 예상되나, 2010년 완공 예정인 Guangdong LNG 프로젝트때문에 LNG와의 경쟁이 격화되면 LPG 판매회사로의 구조조정이 불가피하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Shanghai의 에너지 소비는 다양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사용비율은 석탄가스 45%, LPG 39%, 천연가스 14%를 나타내고 있다. LPG의 소비구조도 민생용 45%, 자동차용 28%로 큰 비율을 차지해 Pearl River Delta 지구와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LPG 공급소스는 정유공장 생산제품 39%, 수입품 44%로 거의 균형을 이루고 있다. 중국의 에너지 사실은 앞으로 환경문제에 대한 높은 관심 등의 영향을 받아 천연가스가 한층 더 신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정유공장의 입지와 LPG 소비지의 갭이 해소되면 남부는 주로 수입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석유 수요 증가에 대응해 정제설비가 증설되면 부산물인 LPG의 공급도 증가해 수입 LNG, LPG에도 국산 LPG의 경쟁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한편, 취급이 간단한 분산형 에너지인 LPG는 경제발전과 함께 교외 공급이 점점 가속화될 것으로 보이며, 신규 수요자를 끌어들이기 위한 경쟁이 가속화되고 있다. 표, 그래프: | 중국의 LPG 사용실태 비교(2003) | <화학저널 2005/12/30> |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석유화학] 석유화학, 중국발 공급과잉 타격 장기화 | 2025-11-19 | ||
| [석유화학] 프로필렌, 중국 주도에 동북아 반등 신호? | 2025-11-19 | ||
| [EP/컴파운딩] EPP, 중국 수요 증가를 기대한다! | 2025-11-18 | ||
| [배터리] 전해액, 중국기업 독주 체제 지속 | 2025-11-14 | ||
| [무기화학/CA] 요소, 중국 수출규제 완화로 안정화 | 2025-11-1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