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 성장성 높으나 문제 많다!
|
중국, 연평균 15% 성장률 … 약가 인하에 거래 불투명성 높아 중국의 의약산업은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한편으로 많은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일본제약공업협회의 <중국 의약품 생산현황>에 따르면, 중국은 인구가 많고 급속히 공업화 사회로 진입하면서 의약시장은 매우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중국 의약시장은 연평균 15% 확대되고 있고, 외국자본투자신장률도 30% 이상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불합리한 의약품 가격인하 및 의료기구의 불투명한 입찰제도 등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중국의 의약품 시장규모는 1조5000억엔, 인디아는 4000억엔 수준인데 중국은 일본(6조엔)에 이어 아시아에서 2위를 차지하고 있다. 또 외국자본투자 성장률은 30%로 시장 평균성장률의 2배 수준이며, 특히 유럽계 글로벌기업은 40%의 신장률을 나타내고 있다. 유럽 글로벌 제약기업들은 의약품보다도 중국시장을 정책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수뇌진이 연간 4-5회 중국을 방문하는 등 시장공략에 적극 나서고 있다. 이에 비해 일본의 제약기업들은 연간 1-2회 방문에 그치고 있고 일본계 제약기업의 총투자액은 1000억엔을 넘고 있으나 매출은 600억엔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그러나 GMP제도의 경계에 놓인 제약기업도 2000개 정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GMP 제도가 완전히 운용되고 있지는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기업이 제조를 위탁했을 때 Drug Master File에 적합한 것은 절반정도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개발 면에서는 화학합성품 생산은 포기하는 등 열악한 상황이었으나 세계 최저가인 원료의약으로 호평을 받고 있다. 중국 제약기업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은 생물의약으로 나타나고 있다. 중국 정부가 가격을 설정하고 있는 약품은 2400개 품목으로 2005년 22개 품목의 약품가격 인하를 이행함으로써 총 560억엔이 축소했다. 전체 약품의 37%을 차지하고 있는 항생제는 2년 연속 개정되는 등 사용량이 많은 항생제가 가격 개정의 타겟이 되고 있다. 그러나 가격인하에 대한 명확한 근거가 부족해 글로벌 제약기업들은 시장가격 조사결과를 제시하는 등 구체적인 근거를 제시하도록 요청하고 있다. 의료기관은 입찰에 따라 약품을 구입하며 소매가격은 낙찰가격에 규정된 유통차액률을 더해 결정된다. 유통차액률은 성마다 다르며 거래의 불투명도가 높다. 중앙정부가 관리하는 소매가격을 100으로 한다면 병원으로 납입되는 가격은 60-70 정도이고 의료보험 상환가격은 85이다. 병원경영의 50-60%가 약제비에 의존하고 있어 병원으로서는 약가격차익을 기대할 수 밖에 없는 상태이다. 그러나 정부가 애써 가격을 인하해도 환자에게는 전혀 반영되지 않아 의약단체는 입찰제도의 폐해가 많기 때문에 중지해야 한다는 탄원서를 국무원에 제출했다. 이에 따라 생산 코스트나 거래가격, 환자부담 가격 등의 긴급조사에 나서는 사례가 많다. 중국 의약시장은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으나 높은 성장이 기대돼 일본기업들도 중국시장 진출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표, 그래프: | 아시아 의약품 시장규모 | <화학저널 2006/01/03> |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제약] 분리막, 중분자 의약품 생산성 개선 | 2025-11-18 | ||
| [바이오폴리머] 포장재, 단일소재화로 의약품 공략 | 2025-10-21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제약] CDMO, 의약에서 기능성 소재로 확장 | 2025-11-14 | ||
| [플래스틱] 포장재, 동남아 펫 시장 성장성 주목… | 2025-11-07 | ||
| [제약] 핵산 의약품, 2030년 18조원으로 성장 일본 화학기업 참여 본격화 | 2025-10-3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