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 석유제품 중국수출 “흐림”
|
산자부, 중국수출 740억달러 전망 … LCD 양호에 컴퓨터 부진 양극화 2006년 중국수출이 740억달러에 달하나, 석유제품 수출은 부진할 것으로 예상됐다.산업자원부가 1월12일 서울 팔레스호텔에서 <중국경제 동향 점검회의>를 개최한 자리에서 무역연구소 양평섭 연구위원은 “2006년 중국수출이 위안화의 지속적인 절상에도 불구하고 꾸준한 증가세를 유지해 2005년보다 20% 가량 늘어난 740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 “중국의 수입제품 중 수출용 중간재 수입보다는 내수용 중간재와 소비재 수입의 증가가 두드러질 것으로 예상되나 중국에 진출한 글로벌기업의 전반적인 생산 및 경영여건의 악화가 중국수출에 부정적 요인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품목별로는 LCD, 자동차부품, 직접회로, 기계류의 중국수출 여건은 상대적으로 양호한 반면, 휴대폰부품, 컴퓨터부품, 석유제품 등의 수출 여건은 부정적이어서 양극화현상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했다. 2005년에는 한국과 중국 교역이 1010억달러로 추정돼 1000억달러 시대를 열었고 국내 대중 무역수지 흑자도 2년 연속 200억달러를 넘은 것으로 분석됐다. 산업연구원 이문형 연구위원은 “2006년 중국경제가 투자와 수출 증가율이 낮아지고 소비증가율은 높아지면서 8%대의 성장률을 기록하고 물가상승률은 2%대를 유지해 적정성장 저물가의 안정된 국면을 보일 것”으로 예측했다. 특히, “중국의 제11차 5개년 규획(2006-2010년) 출범에 따라 내수시장 및 에너지ㆍ환경 분야의 성장 등이 중국 진출의 기회를 제공하는 반면, 중국의 산업고도화에 따른 기술격차 축소 및 글로벌기업에 대한 선별적 지원정책으로의 전환, 경쟁심화 등은 위협요인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중국 내수시장을 겨냥한 완제품 및 소비재의 수출비중을 확대하고 중국의 산업고도화 과정에서 단기간에 국산화하기 어려운 품목의 수요가 늘어날 것에 대응해 수출품목을 첨단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산자부 문재도 통상지원심의관은 “2005년 중국에 대한 시장경제지위(MES) 인정 등 양국간 경제협력 및 교역확대의 전기를 마련한 만큼 2006년 국내기업의 다양한 중국 진출기회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한중 무역투자정보망 구축하고 기술ㆍ산업ㆍ에너지 협력 확대를 위한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화학저널 2006/01/13>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에너지정책] 정유4사, 석유제품 가격 인상 자제하라! | 2025-11-14 | ||
| [석유정제] 정유4사, 석유제품 수출 확대 기대 | 2024-12-18 | ||
| [석유정제] 석유제품, 수출 호황에도 힘 잃어… | 2024-12-06 | ||
| [석유정제] 석유제품, 생산‧수출침체 해소하라! | 2024-12-05 | ||
| [석유정제] 정유4사, 석유제품 수출량 “최대” | 2024-10-2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