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노기술, 상업화 지원 “주력”
|
2006년 국내투자 4504억원 … 시간단축에 중소기업 지원 필수 나노기술 분야의 선진국의 주요 관심사가 1990년 말 기술개발에서 기술의 상업화에 대한 지원정책으로 이동하고 있어 나노기술의 조속한 상업화 지원에 주력해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한국산업기술평가원이 30개 국가를 대상으로 나노기술 지원정책을 조사한 <국별 나노기술정책 비교분석> 에 따르면, 나노기술을 선도하고 있는 미국은 2기 국가나노기술전략을 통해 산업화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 독일(나노기술개발전략)과 일본(나노기술ㆍ재료분야 추진전략)도 나노기술의 조기상업화에 주력하고 있다.
국내 나노기술 투자도 2002년 2121억원에서 2006년 4504억원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이에 따라 나노기술의 세계 시장규모는 2010년 나노소재 430조원, 나노 소자ㆍ기계 352조6000억원, 나노바이오 59조3000억원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중점지원 분야는 재료/제조, 전자&광학, 바이오테크/의료 등 3분야가 선정됐다. 반면, 에너지 및 환경, 장비개발, 교육 등은 미국과 아일랜드에서 중점 지원되고 있으며, 유럽은 유럽연합차원의 큰 틀에서 지원하고 있다. 싱가폴은 전자 및 광학과 바이오테크/의료를, 중국은 재료/제조를 중점지원 분야로 선정했다. 최근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한국은 미국, 일본, 독일과 더불어 나노기술 리더국가로 평가되고 있으며 7년 후에는 타이완과 중국이 강력한 경쟁상대로 부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정부는 나노기술의 산업화(상업화)를 직접 주도하기보다는 R&D와 시장에서 실제 활동하는 기업, 특히 제자원이 취약한 중소기업이 최대의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산업화(상업화)전략은 산업화기간을 단축시키고 위험을 극복할 수 있도록 표준화, 응용성개발, 실용화 지원의 큰 틀에서 기업의 규모에 따라 차별화된 전략 필요하므로 대기업은 조세 등 행정적 사항을 위주로 지원하고 중소기업은 R&D 직접지원, R&D관련 정보 및 인력 Networking, 단기 및 중장기 산업화 등을 위주로 지원할 방침이다. 산업화(상업화) 지원정책은 2단계로 이루어지는데 1단계에서는 핵심 산업분야 선정 및 필요기술을 도출하고, 2단계에서는 중소기업지원, 인력양성/국제협력, 기반정비를 위한 전략 수립을 추진할 예정이다. 표, 그래프: | 나노기술 지원정책 비교 | <화학저널 2006/01/20> |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폴리머] OPP, 초고강성 시트 상업화한다! | 2025-04-22 | ||
| [리사이클] SK케미칼, 순환재활용 소재 상업화 | 2024-07-25 | ||
| [배터리] LG에너지, 건식코팅 기술 상업화 | 2024-07-04 | ||
| [바이오연료] 수소, 태양광 생산 상업화 막바지 | 2024-06-20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바이오폴리머] PBAT, SK·LG 상업화 “경쟁” | 2024-05-3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