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제품, 중국시장 점유율 16%
|
2005년 한국산 총수입액 143억달러 … 화학섬유는 0.8%p 하락 중국 수입시장에서 한국제품의 시장점유율은 높아졌으나 석유제품 및 화학섬유의 시장점유율은 낮아졌다.한국무역협회 무역연구소에 따르면, 중국 수입시장에서 주요국가 상품들의 시장점유율을 분석한 결과 일본, 미국, 타이완, 유럽연합(EU) 등 경쟁국의 점유율은 하락한 반면, 한국은 상승세를 유지했다. 한국산의 시장점유율은 2004년 11.1%에서 2005년에는 11.7%로 상승했다.
화학원료 및 화학제품은 2005년 중국의 한국산 수입액이 77억9900만달러로 31.5% 급증했으나 시장점유율은 1.6%p 상승에 그쳤다. 고무는 한국산 수입액이 5억4900만달러로 무려 52% 증가했고 시장점유율은 3.5%p 상승했다. 플래스틱은 한국산 수입액이 58억6000만달러로 20.2% 늘었으며, 시장점유율은 0.2%p 상승했다. 화학제품 전체의 한국산 수입액은 142억800만달러로 34.6% 증가했으며 시장점유율은 1.8%p 상승했다. 반면, 화학섬유는 한국산 수입액이 12억3900만달러로 6.6% 하락했고, 시장점유율은 0.8%p 하락했다. 중국 수입시장에서 한국산은 시장점유율 양극화 현상을 나타냈다. 중간재 수입시장에서 한국산의 점유율은 13.5%에서 15%로 높아지고, 하이테크제품에서 한국의 점유율은 14.1%에서 15.2%로 높아졌으나, 최종재는 한국산 제품의 점유율이 오히려 하락했다. 자동차, 반도체, 전자부품, 정밀기기 등은 중국시장에서 경쟁우위를 유지하고 있는 가운데 시장점유율도 상승하고 있는 반면 섬유, 피혁제품, 석유제품, 화학섬유 부문은 비교우위를 유지하고 있으나 시장점유율이 하락했다. 보고서는 중국 수입시장에서 중국산에 의한 대체와 아세안 등의 추격에 대비함은 물론 대중 수출경쟁력이 취약한 최종재와 기계류 업종에서 대중 수출 마케팅을 강화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표, 그래프: | A중국의 한국산 수입액과 한국산 제품의 시장점유율 | <화학저널 2006/02/28> |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식품소재] 식품소재, 중국시장 성장성 막대 | 2025-03-27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플래스틱] 플래스틱 국제협약 ②, 플래스틱에 화학제품 포함 생산규제에 리사이클 “공방” | 2025-09-26 | ||
| [화학무역] 일본, 화학제품 수출 확대 성공했다! | 2025-07-11 | ||
| [에너지정책] 중국의 화학산업 혁신 ①, 그린 화학제품 생산 본격화 세계 최초 바이오제조 “성공” | 2025-05-02 | ||
| [식품소재] 화학제품, 할랄 시장 “급부상” | 2025-04-0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