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소재, 중국과의 기술격차 축소
|
산자부, 디스플레이 기술경쟁력 3-4년 … 리튬이온 2차전지는 2.5년 중국의 추격이 거세지면서 디스플레이, 2차전지 등 주요 전자산업의 기술경쟁력 격차가 2005년에 1-3년 정도로 좁혀진 것으로 분석됐다.산업자원부가 발표한 <중국산업 및 기술경쟁력 분석과 대응방안>에 따르면, 8개 산업, 20개 품목의 한ㆍ중 산업 및 기술경쟁력 격차에 관한 분석결과, TFT-LCD, PDP 등 디스플레이의 기술경쟁력 격차는 2005년에 3.5년이었으나 2010년에는 2년 정도로 좁혀지고 산업경쟁력 격차는 2010년에 1-2년으로 좁혀질 것으로 전망됐다. 중국정부는 디스플레이 산업을 국가발전의 전략산업으로 선정해 일본기업과의 합작과 한국기업의 인수를 통한 성장전략을 추구하고 있다.
+++ 산업경쟁력: 가격, 생산, 품질, 서비스, 납기 등 주요 산업특성을 종합| 디스플레이산업에서 한국과 중국의 산업경쟁력은 4-5년 정도의 격차를 보이고 있으나, 기술경쟁력은 3-4년 정도의 격차를 나타내고 있다. 현재 TFT-LCD의 산업경쟁력은 4.5년 정도의 격차를 유지하고 있으나, 2010년에는 1년 정도의 격차로 좁혀질 것으로 예상되는데 중국이 외국기업과의 합작ㆍ인수로 얻은 생산경험을 바탕으로, 산업경쟁력을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하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의 TFT-LCD 기술경쟁력은 현재 6, 7세대 등 대형화에 대한 생산경험이 없어 한국에 비해 3.5년 정도 열세이지만, 한국ㆍ일본ㆍ타이완의 우수 해외인력을 확보하면서 2010년에는 2년 이내로 한중격차가 줄어들 전망이다. 중국의 OLED는 연구개발 완료 후 양산투자를 준비하고 있으며, 2010년도에도 OLED의 핵심인 효율향상 및 장수명화 능력이 미진할 것으로 예상돼 최소 2년 이상의 격차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의 OLED기술경쟁력은 한국에 비해 현재 3.5년 정도의 격차를 보이고 있으나, 중국이 자국내 강점인 기초화학 소재기술분야를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면 2010년경에는 2년 정도의 격차로 줄어들 전망이다. 리튬2차전지의 2003년 시장점유율은 원통형 리튬이온2차전지가 일본 84.8%, 한국 7.6%, 중국 3.8%, 기타 3.8%이며, 각형 리튬이온2차전지가 일본 59.4%, 한국 14.4%, 중국 13.9%, 기타 12.3%, 리튬이온폴리머전지가 일본 60%, 한국 31.1%, 기타 8.9%로 나타났다. 중국의 리튬2차전지산업은 리튬이온2차전지를 주로 생산하고 있으며 일본, 한국에 이어 세계 3위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고, 생산량을 확대하기 위해 대규모 공장증설을 추진 중에 있다. 중국의 리튬2차전지생산기업들은 휴대폰적용을 위한 각형 리튬이온2차전지 생산 중심에서 향후 리튬이온폴리머전지로 생산을 늘릴 방침이다. 리튬이온2차전지의 한국과 중국의 산업경쟁력은 1-2년 정도의 격차를 보이고 있으나, 기술경쟁력은 2.5년 정도의 격차를 유지했다. 그러나 중국의 가격경쟁능력과 품질개선노력이 서로 상승작용을 발휘하면 2010년에는 1년 정도의 격차로 좁혀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리튬이온2차전지의 기술경쟁력은 현재 2.5년 정도의 격차를 보이고 있으나, 중국은 전지관련 부품 및 재료기업들의 경쟁적인 기술개발로 인해 2010년에는 1년 정도로 기술격차가 줄어들 전망이다. 리튬이온폴리머전지는 산업경쟁력이 1년 정도의 격차를 보이고 있으나, 중국의 수요증가 및 중국기업의 증가로 인해 2010년에는 0.5년 정도의 격차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리튬이온폴리머전지는 리튬이온이차전지와 마찬가지로 2.5년 정도의 기술격차가 존재하고 있으나, 2010년 에는 1년 정도의 격차로 줄어들 전망이다. 표, 그래프: | 한국ㆍ중국의 산업 및 기술경쟁력 격차(2005) | <화학저널 2006/03/03> |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인사/행사] 전자소재, 차세대 방열 솔루션 급성장 | 2025-11-13 | ||
| [전자소재] 듀폰, 전자소재 사업 큐니티로 분사 | 2025-11-11 | ||
| [화학경영] KPX케미칼, 전자소재 사업 분할 | 2025-08-29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올레핀] 전자소재의 친환경화, 태양광‧배터리‧반도체 친환경 전환이 경쟁력 좌우 | 2025-11-07 | ||
| [전자소재] 전자소재, 관세 영향 “예측불가” | 2025-06-2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