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철금속 급등에 플래스틱으로 대체
|
KIET, 동 44.7%에 아연 66.2% 상승 … 알루미늄ㆍ플래스틱 대체 모색 최근 국제유가와 산업용 원자재 가격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는 급등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비철금속 시장의 대응은 한계를 맞이한 것으로 나타났다.비철금속을 원부자재로 사용하는 관련산업은 원가부담을 감내하기 어려운 수준에 이른 상황에서 가격불안이 장기화할 것으로 보여 가격상승 부담을 제품가격에 전가하거나 대체소재 발굴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
비철금속 가격급등은 공급 부족에 따른 수급불안 요인도 작용하고 있지만 대규모 투기성 자금의 유입 등 수급외적인 영향이 보다 크게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아연도금강판 및 아연도금강관을 제조하는 철강산업은 2006년 들어 아연가격의 급상승으로 제조원가에서 7-8%의 추가 부담이 발생하면서 관련제품의 가격인상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소전 수출기업은 소전 재료를 동, 아연 등에서 상대적으로 가격 상승폭이 크지 않은 알루미늄으로의 대체를 검토하고 있다. 동 파이프, 동판 등 비철금속제품을 사용하는 건설, 기계설비, 조립가공기업들은 비철금속 가격상승이 관련제품 가격상승으로 이어지면서 대체소재에 대한 관심이 급상승하고 있다. 특히, 동 가격이 급등하면서 동 파이프, 동판 등의 수요기업들도 상대적으로 가격 인상이 높지 않은 알루미늄과 플래스틱제품 등 대체 소재의 사용을 적극 모색하고 있다. 표, 그래프: | 비철금속 가격변화 추이 | <화학저널 2006/04/28> |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석유화학] MEG, PTA 급등에 동반 상승세 | 2025-08-01 | ||
| [석유화학] AN, 프로필렌 급등에 상승세 전환! | 2025-07-04 | ||
| [석유화학] PVC, 국제유가 급등에도 “무반응” | 2025-06-24 | ||
| [석유화학] SM,아로마틱 급등에 900달러 회복 | 2025-06-20 | ||
| [석유화학] 벤젠, 국제유가 급등에 올랐지만… | 2025-06-1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