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화학, FTA 체결로 수출 청신호
|
한국-ASEAN 상품협정 타결로 관세인하 … 10-15% 가격경쟁력 회복 한국과 ASEAN(동남아국가연합) 간 FTA 상품협정이 타결됨으로써 국내기업들의 ASEAN 수출에 청신호가 켜졌다.KOTRA가 발간한 <한-ASEAN FTA 체결 후 ASEAN 수출유망품목>에 따르면, 한국과 ASEAN이 시장개방 약속에 따라 관세인하가 이루어지면 에어컨 및 디지털TV 등 고급 가전은 직수출 비중이 높은 분야로 관세인하 효과가 클 것으로 보이며, SM(Styrene Monomer), PP(Polypropylene) 등 석유화학제품, 섬유원단 일부 제품 등도 관세인하에 따른 가격인하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된다. 현지 바이어들도 FTA 발효 이후 한국 주요 품목의 가격이 10-15% 개선돼 수출에 좋은 효과를 누리게 될 것으로 예상했다. 또 이미 ASEAN과 FTA를 발효한 중국, 일부 국가와 FTA를 개별적으로 체결한 일본 등과 동등하거나 우월한 경쟁력을 갖게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현재 합성필라멘트직물은 HS 6단위 기준 국내 인도네시아 수출 12위 품목으로 타이완, 중국 등과의 가격경쟁에서 밀리면서 감소세를 나타내고 있으나 ASEAN 국가 등과 10%의 관세차이가 없어지면 가격경쟁력이 크게 회복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한국과 ASEAN의 FTA 체결시 중국제품의 견제 및 타이완산 제품과의 경쟁이 가능할 전망이다. PP는 2004년 4800만달러, 2005년 1-11월 3900만달러를 수출해 HS 6단위 기준 11위를 차지한 품목이다. 주요 경쟁국은 싱가폴, 일본, 타이, 말레이지아 등으로 기존 ASEAN 국가들과의 관세차이가 5%였는데 FTA 체결을 통한 관세인하가 가격경쟁력 회복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자동차부품은 일본이 전체시장의 70% 이상을 독점하고 있으며, 타이, 싱가폴, 말레이지아 등 ASEAN 국가로부터 주로 수입하고 있는데 관세인하로 동등한 관세를 부가받게 되면 국산차 수출증대에 따라 OEM용 뿐만아니라 After 마켓용 제품의 수출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PE(Polyethylene)의 주요 경쟁국은 싱가폴, 타이, 말레이지아, 일본, 중국 등이며 한국은 ASEAN 경쟁국가에 비해 5% 높은 관세를 적용받고 있어 FTA를 체결하면 관세인하로 2자리대 이상의 수출증가세를 회복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 세제원료, 복합비료, HDPE(High-Density PE), LDPE(Low-Density PE), PP 생산기업들은 필리핀과 FTA가 체결되면 일본과 경합이 치열해져 일본의 FTA 체결에 따라 국내기업들의 수출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자동차 타이어는 자동차의 증가에 따른 자동차 타이어 수요도 증가해 2001년 53만대에 불과하던 자동차수는 2005년 11월말 86만대로 증가했다. 한국산 타이어 수입은 1996년 830만달러에서 2005년 11월말 130만달러로 크게 감소했다. 주 수입국은 인디아, 일본, 타이완, 타이, 인도네시아이며, 한국과 ASEAN FTA가 발효돼 관세가 ASEAN의 5% 수준으로 인하되면 인디아, 일본, 타이완에 비해 가격경쟁력이 회복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은 말레이지아, 타이, 필리핀 등 ASEAN 9개 국가와 전체 90% 이상 품목의 시장개방에 합의했는데, 특히 민감품목으로 구분하고 시장개방에 매우 소극적이었던 자동차와 철강의 관세인하를 이끌어냄으로써 중국, 일본 등 경쟁국에 비해 유리한 위치에 설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자동차는 5% 이하로의 관세인하가 2015년 이후에 이루어질 전망이며, ASEAN 지역에서 경제 및 정치적으로 영향력이 큼에도 불구하고 상품협정에 불참한 타이를 시장 개방으로 이끌어내는 등 한국-ASEAN FTA 효과가 극대화되기 위해서는 해결돼야 할 과제는 여전히 남아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김지은 기자> 표, 그래프: | ASEAN 국가별 국내기업의 수출유망상품 | <화학저널 2006/05/09> |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디지털화] 지멘스, 석유화학 DX 솔루션 강화 | 2025-11-14 | ||
| [화학경영] 롯데케미칼, 석유화학 적자 축소 “성공” | 2025-11-12 | ||
| [산업정책] 석유화학, 탄소 감축 목표 달성 어렵다! | 2025-11-11 | ||
| [화학경영] 금호석유화학, 3분기도 흑자 기조 유지했다! | 2025-11-07 | ||
| [화학경영] 삼양그룹, 석유화학사업 위기 정면 돌파 | 2025-11-0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