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화학공장의 환경오염 “논란”
|
주민 암환자 103명 발생 주장 … 공장 하천 COD 기준치 38배 초과 중국 곳곳에서 화학공장의 환경오염을 둘러싸고 화학기업과 주민간에 마찰이 빚어지고 있다.일부 지역에서는 화학공장이 배출하는 발암물질이 섞인 폐수로 암환자가 발생하는 등 질병피해가 속출하고 있다고 주장해 중국 언론들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신화통신 등 중국 언론의 최근 보도에 따르면, Jiangsu성 옌청시 둥진촌에서는 지난 5년 주민 103명이 암에 걸렸고 76명이 사망했다. 주민들은 마을 우물에서 불과 100m 거리에 들어선 쥐룽(巨龍)화학공장에서 흘러나오는 발암물질이 섞인 폐수가 식수원을 오염시켰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또 공장의 폐수가 85만평의 농지를 오염시키고 1만5000여 주민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며 즉시 가동을 중단하고 공장을 폐쇄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쥐룽화학은 합법적인 허가절차를 밟아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면서 공장 폐수로 주민들이 암에 걸렸다는 주장은 억지라고 일축했다. 쥐룽화학은 2000년 1000만위안의 자본금으로 일대 4000여㎡의 부지에 공장을 세우고 염소와 벤젠(Benzene) 화합물을 이용한 화학제품 원료를 생산하고 있다. 신화통신은 쥐룽화학에서 배출된 폐수를 측정한 결과 pH농도 3의 강산성으로 나타났다며 공장쪽에 의혹을 눈길을 보냈다. Tianjin시 외곽 136개 화학공장이 밀집한 시디터우(西堤頭) 마을에서도 비슷한 다툼이 수년째 이어지고 있다. 주민들은 1960년대부터 집중적으로 들어선 화학제제와 염료, 페인트 도료, 농약 등을 생산하는 화학공장으로 인해 1998년 이래 300여명이 각종 암에 걸렸고 상당수가 사망했다고 주장했다. 주민들의 집단 발암 사건은 국영 CCTV와 신경보(新京報) 등이 2005년 비중있게 다룬 바 있다. 시 당국은 공장 밀집지대를 관통해 마을로 흐르는 하천의 오염도를 측정한 결과 화학적산소요구량(COD)이 수질환경기준치를 최고 무려 38배 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주민들은 연명의 탄원서를 만들어 국가환경보호국에 내는 한편 150만위안의 배상을 요구하는 소송을 제기했으나 화학공장 배출 오염물질과 주민들의 발암 간 상관관계를 입증할 방법이 없어 해결이 미루어지고 있다. (베이징=연합뉴스 박기성 특파원) <저작권자(c)연합뉴스-무단전재ㆍ재배포 금지> <화학저널 2006/05/11>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배터리] 전해액, 중국기업 독주 체제 지속 | 2025-11-14 | ||
| [무기화학/CA] 요소, 중국 수출규제 완화로 안정화 | 2025-11-14 | ||
| [배터리] SKIET, 중국과 분리막 경쟁 “선전” | 2025-11-13 | ||
| [첨가제] 랑세스, 중국 고무첨가제 50% 확대했다! | 2025-11-13 | ||
| [배터리] 음극재, 중국이 글로벌 시장 94% 장악 | 2025-11-1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