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HMW-PE, 인공관절 시술에 활용
|
특허청, 외국인 출원 증가세에 내국인 출원은 전무 … 연구개발 절실 최근 노인인구비율이 늘어나면서 인공관절시술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인공관절시술에 사용되는 기본적인 재질은 금속재료, 플래스틱, 세라믹 등이 있는데 금속계열은 장시간 사용시 열에 의한 팽창과 부식에 약하고, 플래스틱은 마모에 의해 골 용해(Osteolysis)가 발생할 수 있으며, 세라믹은 마모의 정도는 매우 적으나 잘 깨질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관절 연결 부위에는 마모와 마찰에 우수하고 생체적합성이 뛰어난 초고분자량 PE(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재료 또는 특수세라믹 재료를 이용해 개발하는 인공관절과 관련된 특허출원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또 최근에는 고분자의 마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기술방식에서 나노기술, 방사선등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외국인이 출원한 국외출원은 2001년 13건에서 2005년 33건으로 꾸준한 증가를 보인 반면 내국인이 출원한 국내출원은 2003년 이후 감소해 2005년 이후에는 전무한 상태이다. 따라서 국내에서 초고분자량 PE를 이용한 인공관절개발의 연구 및 특허가 더욱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특수세라믹을 이용하는 분야에서 2001-05년 출원현황은 총 112건으로 2002년 이후 증가돼 국외출원은 2002년 9건에서 2005년 17건으로 증가했고, 국내출원은 2002년 7건에서 2005년 19건으로 늘어났다. 국외출원은 초고분자량 PE와 특수세라믹 부분에서 계속적인 증가를 보인 반면 국내출원은 2003년 이후 인공관절에 사용되는 고분자분야에서는 감소했으나 특수세라믹 부분에서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국내의 인공관절 연구는 플래스틱의 닳아짐으로 인해 생길 수 있는 합병증의 하나인 골 용해를 방지하기 위한 대체물질인 특수세라믹부분에 집중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그래프: | 초고분자량 PE 인공관절소재 특허 출원동향 | 특수세라믹 인공관절 소재 특허 출원동향 | <화학저널 2006/05/12> |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EP/컴파운딩] PEEK, 인공관절 적용 시도… | 2018-06-21 | ||
| [인사/행사] 여천NCC, 무료 인공관절 수술 지원 | 2009-05-08 | ||
| [폴리머] Ticona, 중국 UHMW-PE 신설 | 2006-05-10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제약] 인공관절, 아시아 시장 적극 공략 | 2020-02-28 | ||
| [폴리머] UHMW-PE, EP 대체소재 각광 | 2004-02-2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