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화학, 차세대 주력산업 선정
|
산자부, 산업기술 로드맵 수립 … 반도체ㆍ차세대전지도 성장동력 석유화학산업이 앞으로 한국경제를 이끌어갈 4대 분야 19개 산업 가운데 하나로 선정됐다.산자부와 산업기술재단은 7월10일 산업계, 학계, 연구소의 전문가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산업기술 로드맵 수립을 위한 Kick-Off 회의를 갖고, 2015년까지 한국이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거나 확보할 필요가 있는 19개 산업에 걸쳐 개발할 필요가 있는 핵심기술에 대한 체계적인 지도인 산업기술 로드맵을 작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산업기술 로드맵은 BIT 융합산업, 고령친화산업(의료기기), 환경, 초정밀기기, 첨단 등 미래 첨단산업분야 6개 산업, 반도체, 디스플레이 장비, 지식기반 산업 등 전략 기반산업분야 3개 산업, 미래형 자동차, 차세대 반도체, 지능형 로봇, 차세대전지, 디스플레이 등 차세대 성장동력 5개 산업, 조선, 석유화학, 기계, 철강 등 주력 기간산업 분야 5개 등 4개 분야 19개 산업이다. 미래 첨단산업은 현재 산업초기단계이나 향후 세계시장이 급속히 형성되는 산업분야로 BIT 융합산업은 현재 바이오칩, 바이오인포매틱스, 바이오센서 등의 분야에서 세계시장이 형성되고 있으며, 바이오칩분야만 2010년 세계시장 규모가 100억달러를 상회하는 등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초정밀기기산업은 초미세 부품 및 소자를 구성하는 나노스케일(100nm 이하) 패턴을 효과적으로 제작할 수 있는 기술과 장비 기술, 측정 기술을 포괄하는 분야로 제품의 소형화에 따라 중요성이 더욱 증대되고 있으며, 첨단소재(NIT)산업는 기존의 재료와 공정은 물리적 한계에 도달하고, 나노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중요성이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신기술융합 가전분야는 유비쿼터스(Ubiquitous)화의 진전과 이종기기간 융복합화에 따라 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산업기술 로드맵에 담을 주요 내용으로는 △미래 전략품목을 발굴하고 2015년까지 핵심기술을 도출하며, △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한 R&D, 기반조성, 표준화, 지적재산권 보호, 지역혁신, 국제협력 등의 마스터플랜을 작성할 계획이다. 산자부 관계자는 “생산기반산업, 장비산업, 지식기반서비스산업 등 전략기반산업은 기술적 파급효과가 큰 기술생산형 산업으로 산업 전반의 고부가가치화와 대ㆍ중소기업의 동반발전에 중요한 산업으로 산업기술 로드맵을 마련해 정부차원에서 체계적 육성이 필요한 분야”라고 강조했다. <화학저널 2006/07/13>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디지털화] 지멘스, 석유화학 DX 솔루션 강화 | 2025-11-14 | ||
| [인사/행사] 전자소재, 차세대 방열 솔루션 급성장 | 2025-11-13 | ||
| [화학경영] 롯데케미칼, 석유화학 적자 축소 “성공” | 2025-11-12 | ||
| [산업정책] 석유화학, 탄소 감축 목표 달성 어렵다! | 2025-11-11 | ||
| [화학경영] 금호석유화학, 3분기도 흑자 기조 유지했다! | 2025-11-0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