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김홍희 교수팀, 골 대사 조절물질인 SIP 세계최초로 규명 인체에서 뼈가 만들어지고 분해되는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물질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밝혀져 골다공증이나 관절염 등 골질환 치료에 새로운 전기가 마련됐다.
연구에 관한 논문은 국제 과학저널 엠보저널(EMBO J) 인터넷판(24일자)에 실렸다. 인체의 뼈는 매일 조금씩 분해되고 분해된 양만큼 새로운 뼈로 채워짐으로써 항상성을 유지하게 되나 파골세포의 활성이 증가하면 뼈의 분해가 촉진돼 뼈가 얇아지고 쉽게 부러지는 골다공증과 같은 질병이 일어나고, 조골세포의 활성이 증가하면 골밀도의 증가로 뼈의 기형이나 골 석화증이 일어난다. 김홍희 교수팀은 연구에서 파골세포의 분화과정에서 생성된 S1P가 세포 밖으로 빠져나온 뒤 조골세포를 분해된 뼈 조직으로 불러들여 부족한 뼈를 채울 수 있도록 도와주고, 다른 한편으로는 조골세포에서 발현하는 파골세포 분화인자(RANKL)의 레벨을 증가시켜 파골세포의 분화를 촉진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주 연구자인 류지윤 박사(서울대 박사후과정)는 “연구를 통해 파골세포와 조골세포간의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새로운 기전이 밝혀졌다”면서 “골 대사 이상으로 인한 질환인 골다공증, 관절염 등의 치료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한 것으로 평가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연합뉴스 - 무단전제ㆍ재배포 금지> <화학저널 2006/11/24>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나노소재] 나노기술, 질병 진단‧치료에도 적용 | 2013-11-07 | ||
[인사/행사] 아람코, 화상 어린이 치료에 20만달러 기부 | 2010-11-24 | ||
[제약] 타미플루, AI 치료에 한계 있다! | 2006-11-28 | ||
[제약] 패치제, 천식ㆍ고혈압 치료에 이용 | 2004-12-29 | ||
[제약] 이레사, 한국인 폐암 치료에 탁월 | 2003-12-16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