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과학원, 중금속 8종과 PAHs 16종 90% 이상 제거 … 외국과 비슷 국내 하수슬러지 소각시설의 유해 대기오염물질 배출특성을 조사한 결과, 대부분이 소각재로 배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국립환경과학원이 국내 9개 시설 중 5개 시설을 대상으로 하수슬러지와 소각 후 배출가스에 대해 크롬 등 8종의 중금속류 및 미규제 오염물질인 16종의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PAHs)의 오염도를 조사한 결과, 하수슬러지에 함유돼 있는 중금속류는 소각과정에서 파괴되거나 분해되지 않고 대부분 소각재로 배출되고 있으며, 배출가스 중 중금속류는 고효율 집진방지시설에 의해 평균 90%이상 제거돼 배출허용기준보다 훨씬 낮은 농도로 배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AHs는 중금속과 달리 소각재로는 거의 배출이 되지 않고 대부분이 가스상(95%이상)으로 배출되고 있었으며, 배출가스 중 PAHs 평균 농도범위는 1.153-189.449㎍/m3으로 미국의 생활폐기물 소각시설보다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그러나 배출가스 중 PAHs는 하수슬러지에 함유된 PAHs 분포패턴과 다른 분포패턴을 보여 운전조건, 산소농도 등에 따라 소각과정에서 새로이 생성되는 부분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내에서는 하수슬러지 해양투기금지 입법추진(2012년)과 전량 육상처리 계획(2011년)에 따라 소각처리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잇다. 환경과학원은 조사결과를 국내 미규제 오염물질인 PAHs에 대한 소각시설의 시설 및 운전조건 등 관리기준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국내 미규제 유해 대기오염물질에 대한 조사를 계속 실시할 계획이다. 표, 그래프: | 하수슬러지의 PAHs 함유량 비교 | <화학저널 2007/03/05>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리사이클] SK에코플랜트, 소각재 재활용 사업화 | 2022-07-14 | ||
[화학경영] 한화케미칼, 자사주 356억원 소각 | 2019-02-21 | ||
[리사이클] 폐PET, 재활용 없이 소각장으로… | 2016-11-11 | ||
[화학경영] 미원상사, 자사주식 매수 후 “소각” | 2016-02-18 | ||
[리사이클] 하수슬러지, 처리비용 높아 무용지물 | 2013-04-17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