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MA, 중국시장 과열경쟁 양상
|
Degussa-Mitsubishi 경쟁 가속화 … 모노머ㆍ유도제품 사업 강화 MMA(Methyl Methacrylate)의 경쟁이 중국시장을 무대로 과열양상을 보이고 있다.Degussa가 Shanghai 화학공업단지에서 추진하고 있는 MMA 10만톤 프로젝트는 최근 국가발전개혁위원회의 승인을 받았다. Mitsubishi Rayon은 중국 Guangdong의 Huizhou에서 7만톤 플랜트를 본격 가동하고, Lucite는 Shanghai 화학공업단지에 9만톤 플랜트를 건설하고 있다. 중국의 Methacrylic Acid 및 MMA 수요는 80만톤으로 추정된다. 중국은 앞으로도 도광판, 확산판 등 액정 디스플레이 제조용 외에 IT, 투명수지, 자동차와 같은 폭넓은 분야에서 MMA 수요가 2자릿수 신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원료 모노머부터 중국 현지 생산제품과 수입제품의 경쟁이 뜨거워지고 있다. Degussa는 C4공법을 채용한 MMA 플랜트를 유기과산화물 등을 생산하고 있는 Shanghai 화학공업단지에 건설할 예정이다. 유도제품을 비롯한 총 투자액은 2억5000만유로로 2009년 가동할 계획이다. Degussa는 국가발전개혁위원회의 인가를 받아 그룹의 성장전략을 획기적으로 발전시키면서 중국을 중점시장으로 꾸준히 투자함으로써 특수화학 시장에서 세계적인 주도권을 확대해갈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의 MMA 생산은 기술력 약화와 생산능력, 품질 등에서 문제가 있었으나 앞으로는 달라질 전망이다. 중국기업들은 모두 ACH(Acetone Cyanohydrin) 공법을 채용하고 있는데, 국가발전개혁위원회가 ACH 공법에 비해 C4 공법이 원료, 기술난이도, 에너지 소비량, 부산물, 환경부하, 안전성 면에서 뛰어난 것으로 인정하고 있다. 따라서 Degussa의 신규 투자로 중국기업들이 압박을 받을 것으로 보면서도 기술수준 향상과 생산능력 확대를 촉진시키고 산업발전에 플러스 효과를 일으킬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중국에서는 영국 Lucite가 1억1000만달러를 투자해 Shanghai 화학공업단지에 9만톤 플랜트를 건설하고 2005년 4월 가동에 들어갔다. Mitsubishi Rayon도 Huadong에 PMMA(Polymethyl Methacrylate)와 아크릴수지판 등을 생산함과 동시에 Huizhou에서는 MMA 7만톤 플랜트를 가동해 MMA 일괄생산체제를 구축했다. 따라서 전체적인 사업 전개에서는 Mitsubishi Rayon이 선두를 달리고 있으나, Dugussa는 플랜트 생산능력이 최대여서 앞으로 경쟁이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에 진출한 MMA 생산기업들은 앞으로 고급 Ester류와 수지판 수요 확대에 대응한 모노머 생산 확대 등으로 사업 강화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화학저널 2007/05/03>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올레핀] LX MMA, 울산에 MTBE 15만톤 건설 | 2025-10-29 | ||
| [폴리머] PMMA, 일본이 CR 상용화 주도 | 2025-05-20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폴리머] MMA, 아시아 거래가격 변동 극심하다! | 2025-11-14 | ||
| [폴리머] MMA‧PMMA, 한국, 일본에 막혀 활로 상실 LX‧롯데, 경영환경이 다르다! | 2025-08-22 | ||
| [올레핀] MMA, 아사히카세이가 철수한다! | 2025-06-2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