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서둘러라!
|
2030년 세계 배출량 90% 급증 감축비용 눈덩이 … 탄소가격 100달러 기후변화 완화를 위한 노력이나 적절한 지속발전 정책이 없으면 2030년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이 2000년 대비 최고 90%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또한 에너지 사용으로 인한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최고 110% 늘어날 것으로 우려됐다. 유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의 실무위원회가 5월4일 타이 방콕에서 채택한 보고서에 따르면, 국제사회가 세계 GDP의 0.2% 가량을 비용으로 투자하면 온실가스 농도는 590-710ppm 수준으로 안정될 것으로 추산된다. 그러나 전 세계의 온도는 산업혁명 이전에 비해 최대 4℃ 올라가 전 세계 생물의 40% 이상이 멸종위기에 처하고 수억명이 물부족 상태에 직면하게 된다. 전 세계가 GDP의 3%를 투자하면 2030년 온실가스 농도는 2000년 380ppm보다 15-40% 상승한 445-535ppm 수준으로 낮출 수 있으며, 지구의 평균기온을 산업혁명 이전 대비 2-2.4℃ 상승한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미 전 세계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1970-2004년 사이 70% 증가했고, 특히 에너지 공급부문에서 가장 큰 증가폭인 145%를 나타냈으며, 수송(120%)과 산업(65%), 토지이용(40%)이 뒤를 이었다. 농업과 건물부문은 1980-1990년 사이에 27% 가량 늘어났다. 앞으로 감축 잠재량이 가장 높은 분야는 건물부문으로 나타났다. 교토의정서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에서 탄소가격을 톤당 최대 100달러로 가정하면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건물부문에서 연간 53억-67억톤 감축할 수 있고, 농업(23억-64억톤), 산업(25억-55억톤), 에너지 공급(24억-47억톤) 순으로 감축 잠재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는 에너지 사용에 의한 이산화탄소 배출량 세계 10위 국가로 세계 배출량의 1.7%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1인당 이산화탄소 배출량 증가율은 세계 최고수준으로 교토의정서상 온실가스 의무감축국은 아니지만 의무부담을 요구하는 선진국의 압력이 높아지고 있다. <화학저널 2007/05/18>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환경] 정유, 온실가스 감축 노력 “미미” | 2025-08-20 | ||
| [환경화학] 서부발전, 수소 활용 온실가스 감축 | 2025-05-30 | ||
| [환경] 코오롱‧효성, 온실가스 감축 속도 | 2025-01-21 | ||
| [바이오연료] 에탄올, 온실가스를 원료로 생산 | 2025-01-15 | ||
| [환경] 석유화학, 온실가스 감축 미흡하다! | 2024-12-16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