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명에서도 2030 현상 뚜렷하다!
|
특허청, 20대 발명비율 급속히 하락 … 40-50대는 상승추세 보여 20대 젊은 연구자들의 발명비율이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특허청이 최근 발표한 <2006 한국의 특허동향>에 따르면, 국내 출원된 특허의 발명가별 연령분포에서 20대 연령층의 발명비율이 급속히 줄어들고 있다. 20대 발명가에 의한 발명비율은 1990년과 1991년에는 50% 이상이었으나 이후 감소추세를 보이면서 2000년 이후에는 약 17% 내외의 점유율만을 보이고 있다.
연구주체별로 20대 발명가의 출원은 기업이 1990년 50%에 육박했으나 2005년에는 20% 이하로 떨어졌다. 반면, 30대 발명가에 의한 발명 비율은 55.3%에 이르러 주류를 차지했고, 40-50대 발명가의 발명비율은 23%대에 머물러 다른 연구주체에 비해서는 다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은 40대 발명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20대 발명가의 감소현상은 1990년대 당시 20-30대에 해당했던 발명가의 발명활동이 이후 10여년 동안 지속적으로 이루어진 반면, 젊은 신규 연구인력 유입이 부족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특히, 전체 특허 출원의 76% 정도를 점유하고 있는 기업은 IMF 외환위기를 전후로 20대 발명가에 의한 발명이 급속히 줄어들고 있어 IMF 외환위기 이후 20대 신규 연구인력의 양성 및 발명 기여도가 저조한 것으로 분석됐다. IMF 여파로 20대 연구원 수가 급감했고, 대기업의 석ㆍ박사 등 고급인력 채용 확대경향 등으로 20대 연구 인력의 양성이 다소 저조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표, 그래프: | 특허 출원된 발명의 연령별 점유율 변화 | <화학저널 2007/06/15> |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반도체소재] 반도체, 2030년 1000조원 돌파한다! | 2025-07-17 | ||
| [아로마틱] PIA, MGC가 2030년 철수한다! | 2025-07-02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제약] 핵산 의약품, 2030년 18조원으로 성장 일본 화학기업 참여 본격화 | 2025-10-31 | ||
| [화학경영] 일본 화학기업 경영전략, 2030년대 경영환경 급변 포트폴리오를 대수술한다! | 2025-07-11 | ||
| [바이오연료] 수소, 2030년 회수기술 상용화 | 2025-06-1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