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기업, 환율강세로 24조원 손해?
|
SERI, 원화환율 19.7% 절상 영업수지 악화 … 원자재 급등으로 33조원 최근 2년간 원/달러 환율이 19.7% 절상되면서 국내기업들의 영업수지가 23조7000억원 악화됐다는 추산이 제기됐다.국제 원자재 가격이 2004년 이후 35.8% 급등한 것도 국내기업의 영업수지를 32조8000억원 악화시켰다. 삼성경제연구소(SERI)가 7월4일 발표한 <한국기업 경쟁력 재점검> 보고서에 따르면, 12월 결산 상장기업 585사 중 수출비중이 50% 이상인 132사의 경영실적을 분석한 결과 수출기업의 수익성이 최근 2년간 내수기업에 비해 두드러지게 악화됐다. 조사대상 수출기업은 원/달러 환율이 2004년에 비해 19.7% 절상되면서 원화표시 수출이 감소해 최근 2년간 영업수지가 23조7000억원 악화된 것으로 분석됐다. 또 최근 2년간 국제 원자재 가격이 2004년에 비해 35.8% 상승하면서 수출기업의 원가부담이 늘어나 영업수지를 32조8000억원 악화시킨 것으로 추산됐다. 다만, 세계시장에서 수출 물가지수 상승 등 국제 수급상황 변동에 따라 수출기업들은 최근 2년간 18조8000억원의 영업수지 개선효과를 얻은 것으로 분석됐다. 따라서 환율, 원자재 가격, 국제 수급상황 등 외부요인에 의한 국내 수출기업의 영업수지 악화는 37조7000억원으로 추산되는 반면, 최근 2년간 수출기업의 영업수지는 9조8000억원 감소하는데 그쳐 내부역량 강화로 27조9000억원의 영업수지 개선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분석된다. 국내 수출기업의 1인당 매출액은 2006년 6억8000만원으로 2001년에 비해 68.1% 늘었으며, 설비투자도 2002년부터 2006년까지 연평균 24.9% 늘어났고, 연구개발(R&D)투자나 특허 출원건수, 마케팅 효율성과 브랜드 가치, 고객만족도도 점차 높아지고 있어 생산력, 개발력, 마케팅력 등 내부역량이 향상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 2년간 시가총액 상위 10위권 제조기업 중 대표기업인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포스코, 현대중공업 등 4사와 경쟁관계에 있는 인텔과 노키아, 도요타, 신일본제철, 지멘스 등 글로벌 대표기업을 비교 분석한 결과 최근 2년간 국내 대표기업의 매출신장률은 8.4%로 글로벌 대표기업의 9.4%에 미치지 못했다. 또 국내기업과 글로벌 대표기업의 최근 2년간 매출 총이익률 차이는 14.9%p로 2002-03년의 13.7%p에 비해 수익성 격차가 확대됐지만, 국내기업의 생산성이나 효율성, 재무안전성은 글로벌 대표기업과 대등하거나 능가하고 있다. <화학저널 2007/07/04>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환경] PFAS, 수출기업 부담 막대하다! | 2023-07-12 | ||
| [화학무역] 화학제품·플래스틱 수출기업 쇠퇴 | 2019-08-30 | ||
| [화학경영] GS-SK, 최대 수출기업 “신경전” | 2012-12-07 | ||
| [산업정책] 일본, 수출기업 화학물질 관리 지원 | 2012-02-03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환경] 수출기업, REACH 대응 “이상무” | 2010-01-2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