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 원료, 아시아가격 강세 꺾인다!
|
BASF의 중국 TDI 16만톤 정상가동 … TDI 3500달러에 MDI 2500달러 우레탄 원료의 아시아 가격 급등세가 진정될 기미를 보이고 있다.TDI(Toluene Diisocyanate)는 중국 Cangzhou Dahua에서 일어난 폭발사고 직후인 2007년 5월 CIF China 톤당 4000달러를 넘어선 후 현재는 3500달러 선으로 소폭 하락했고, BASF의 중국 16만톤 플랜트도 재가동에 들어갔다. BASF 플랜트는 6월 하순에 트러블을 일으켰으나 7월10일경 정상 가동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미국ㆍ유럽의 TDI 및 MDI(Methylene di-para-Phenylene Isocyanate) 수출이 저조해 당분간 수급타이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TDI 가격은 2007년 봄 Dow Chemical의 이태리 플랜트 폐쇄에 Bayer, BASF의 미국 플랜트 트러블로 악화요인이 겹쳐 한때는 CIF China 4000달러 가까이 상승했으나 4월 중국 수요처의 구매감소 등으로 3500달러 수준으로 하락했다. 그러나 5월11일 중국 Hebei 소재 Cangzhou Dahua(생산능력 3만톤)가 사상자 80명으로 추정되는 폭발사고를 일으키면서 가격이 폭등해 5월 중순 4000달러를 넘어섰다. 현재는 3500달러 안팎으로 잠잠해진 상태이다. 우레탄 원료가격 폭등은 Cangzhou Dahua의 복구계획이 확실치 않고, 3월부터 한국BASF, Nanya Plastic, Mitsui Chemicals Polyurethane 등 아시아 대형 플랜트의 정기보수가 장기화되고 있으며, 미국ㆍ유럽의 호황에 플랜트 트러블까지 겹쳐 아시아 수출이 감소한 점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또 중국 정부가 2007년 봄부터 추진하고 있던 TDI 플랜트에 대한 규제가 플랜트 폭발사고로 더욱 강화돼 중소 TDI 생산기업들의 생산이 제한될 전망이다. 한편, MDI도 2007년 봄부터 스판덱스(Spandex), 신발 밑창 등의 소비시즌의 영향으로 수요가 급증하면서 5월부터 Pure MDI가 2600달러, Polymeric MDI가 2500달러로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 TDI와 마찬가지로 아시아 핵심 플랜트의 정기보수 및 미국ㆍ유럽의 공급 감소 영향과 더불어 핵심 공급처인 Shanghai United의 MDI 24만톤 플랜트가 2006년 가을 완공 직후부터 가동중단하고 있기 때문이다. <화학저널 2007/07/16>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합성섬유] 바스프, 최첨단 섬유 원료로 동반 성장 | 2025-11-19 | ||
| [석유화학] 도시유전, 플래스틱 재생원료 공장 준공 | 2025-11-18 | ||
| [에너지정책] 바스프, 한국산 화장품 원료 사업 확대 | 2025-11-11 | ||
| [석유화학] PTA, 원료도 심리도 살아났다! | 2025-11-07 | ||
| [EP/컴파운딩] 다우, PU 순환체제를 자동차로 확장한다! | 2025-11-06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