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TBE는 가솔린 첨가제로 70년대 전반부터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무연화에 따라 옥탄가 부족을 보충하는 수요가 신장하고 있다. MTBE는 90년 미국이 대기정화법(Clean Air Act)을 개정해 산소 함유 가솔린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제시한 후 사용하기 시작했는데, 이 법의 최대 포인트는 자동차용 가솔린에 산소 함유기재 사용을 의무화한 점이다. 결국, 분자중에 산소원자를 함유하는 가솔린 기재를 사용함으로써 완전연소의 비율을 높이고 배기가스 중의 일산화탄소와 질소산화물 발생을 억제하려는 것이다. 이중 질소화합물 발생은 공기중의 질소가 가솔린 연소실의 고온 고압하에서 산소와 반응해 생성되기 때문에 산소 함유 기재를 사용하면 오히려 질소화합물은 증가한다는 지적도 있다. 실제 차종·기온·압축비 등 여러조건에 따라 증가 또는 감소하는 예가 보고되고 있고, 산소 함유 기재인 질소화합물 감소 효과는 아직 명확한 결론이 나오고 있지 않다. 이같이 MTBE는 질소화합물에 대한 의문은 남아 있으나 일산화탄소에 대해서는 명확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따라서 이 법안이 배기가스 대책에 고심하는 여러 국가에 어떤 형태로든지 확산돼 갈 것이 확실시되고 있다. 표, 그래프 : | 세계의 MTBE 수급실적 | 미국의 대기정화법에 따른 MTBE 수요(1993)` | TAME 플랜트 신설계획 | 세계 각국의 MTBE 신설 프로젝트 | <화학경제 1993/6/1>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올레핀] LX MMA, 울산에 MTBE 15만톤 건설 | 2025-10-29 | ||
| [올레핀] MTBE, 중국 재가동으로 공급과잉 | 2025-08-14 | ||
| [석유정제] MTBE, 하락세 장기화 우려된다! | 2025-04-25 | ||
| [올레핀] MTBE, 휘발유 침체로 한국산 타격 | 2025-04-04 | ||
| [올레핀] MTBE, 휘발유 약세로 반등 실패 | 2024-09-2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