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PTA(Purified Terephthalic Acid) 수요가 지속적으로 신장되는 가운데 신증설이 잇달아 추진되고 있어 초미의 관심이 되고 있다. Polyester의 주원료이며 PET병 ET·PET Film·전자용품·자동차부품 등에 사용되는 PTA는 Polyester의 신장과 관련산업의 수요창출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92년 가동률도 91년 대비 7% 늘어난 96%로 나타났다. 이같은 수요증가에 대처 기존 삼성석유화학을 비롯 삼남석유화학·SKI·고려석유화학 등이 신·증설에 나서는 한편, 대한화섬 등이 신규 참여를 추진하고 있다. 대한화섬이 오는 95년 25만톤규모의 공장을 완공하면 그동안 국내 공급의 50%를 차지해온 삼성석유화학의 가격주도권 및 입지약화가 예상되고 있다. 삼성석유화학은 대한화섬에 연간 14만톤 규모의 PTA를 판매하고 있으며 국내 PTA가격도 삼성석유화학에 의해 결정돼오고 있는 실정이다. 표, 그래프 : | PTA 수급전망 | PTA 생산현황 | PTA 생산능력 | 국내 P-X 수급현황 | PTA 세계 수급현황 | P-X 기업별 수급현황 | 국내 Polyester 중합능력 | <화학저널 1993/7/5>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합성섬유] 롯데케미칼, PTA 사업 철수 “완료” | 2025-11-13 | ||
| [석유화학] PTA, 원료도 심리도 살아났다! | 2025-11-07 | ||
| [석유화학] PTA, 에너지·원료 동반 강세에 반등세 강화! | 2025-10-31 | ||
| [석유화학] PET, MEG‧PTA 약세에 밀려 하락세로… | 2025-10-22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합성섬유] PTA, 생산능력 감축은 생존문제 일본은 아예 생산을 접는다! | 2025-10-0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