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 중화권 수출비중 52%
|
중국이 9695만달러로 31.9% 차지 … 수입은 수출의 2배 국내 화장품 수출의 절반은 중화권으로 나가는 것으로 나타났다.대한화장품협회는 관세청 수출입통계를 분석한 결과 2007년 화장품 수출액 3억407만달러 가운데 중국, 홍콩, 타이완이 차지하는 비중이 51.8%에 달해 중화권 시장이 화장품 수출을 주도하고 있다고 8월5일 발표했다. 중국 수출은 9695만달러로 31.9%를 차지했으며, 미국 3304만달러, 홍콩 3111만달러, 타이완 2944만달러, 일본 2771만달러 순으로 조사됐다. 중화권 비중은 2003년까지 34.8%에서 2004년 50.0%로 급등했으며 이후 49-52%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화장품 수출은 2000년 1억달러를 돌파한 이호 2002년 1억4097만달러, 2004년 2억5120만달러, 2006년 2억8031만달러로 빠르게 증가했다. 하지만, 2007년 화장품 수입은 7억5182만달러로 수출의 2배가 넘어 무역역조가 심각한 것으로 파악됐다. 화장품 수입 역시 특정 국가 쏠림 현상이 두드러졌다. 프랑스제품 수입은 1억9185만달러로 총 수입의 25.5%를 차지했으며, 미국 1억7545만달러, 일본 1억2732만달러, 타이 5003만달러, 영국 3933만달러 순이었다. 프랑스, 미국, 일본 등 3개국으로부터 수입비중은 65.7%에 달했다. 한편, 2006년 세계 100대 화장품기업 가운데 국내기업은 아모레퍼시픽이 20위, LG생활건강 31위, 코리아나화장품 80위, 미샤 94위 등을 차지했다. 화장품협회 관계자는 “국내 화장품 수출이 빠르게 증가한 것은 한류가 확산되는 시점과 겹친다”며 “2004년 이후 중화권 수출이 전체의 50%를 웃도는 것도 한류의 영향이 크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연합뉴스 - 무단전재ㆍ재배포 금지> <화학저널 2008/08/05>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에너지정책] 바스프, 한국산 화장품 원료 사업 확대 | 2025-11-11 | ||
| [퍼스널케어] DX, 화장품 천연소재 탐색 효율화… | 2025-11-04 | ||
| [퍼스널케어] 동성케미컬, 화장품에 동결건조 기술 적용 | 2025-10-22 | ||
| [바이오폴리머] CJ제일제당, 화장품 용기 PHA화 | 2025-09-17 | ||
| [퍼스널케어] 에보닉, 화장품 원료 사업 강화 | 2025-08-1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