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소득의 증가와 개인생활의 다양화로 국내에서도 자동차는 우리 생활의 중요한 일부분이 되었다. 국내 자동차산업은 80년대 초반부터 급속한 성장을 계속하여 88년 생산이 100만대를 돌파, 93년 1/4분기 현재 67만749대를 생산했으나 최근 노사분규로 인해 생산에 차질을 빚고 있다. 그러나 올해들어 미국으로의 수출이 다시 늘어나는 등 호조를 보이고 있어 앞으로 자동차 산업의 전망을 밝게 하고 있으며, 자동차용 도료 또한 수요가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거리의 컬러문화, 달리는 패션문화로 일컬어지는 자동차 도료는 단순히 외부 색상으로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거울과 같은 미려한 차체의 외관, 철재면의 부식 방지와 같은 소재보호 목적 및 기능성 부가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자동차용 도료는 크게 신차용 도료와 보수용 도료로 나뉜다. 국내 자동차용 도료 시장규모는 92년 1428억원으로 신차용 1200억원, 보수용 228억원 정도를 형성하고 있다. 이는 91년 1328억원 대비 7.5% 증가했고, 91년은 90년 1073억원 대비 23.8%의 증가세를 시현했다. 자동차용 도료 생산비율을 보면 92년 국내 도료 총생산량 58만1482㎘ 중 신차용 비율은 4.1%, 23만725㎘로 91년대비 16.7% 증가했고, 보수용 비율은 1.8%, 1만304㎘로 91년대비 31.4%의 하락세를 보였다. 표, 그래프 : | 국내 자동차용 도료 생산추이 | 자동차용 도료의 기업별 판매실적 | 국내자동차 색상 현황(1991) | 세계 자동차 메이커의 수성도료 채용 현황 | 자동차 보수용 도료 Life Cycle | <화학경제 1993/8/1>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합성섬유] 광섬유, 자동차 인테리어 시장 개척 | 2025-11-13 | ||
| [EP/컴파운딩] 다우, PU 순환체제를 자동차로 확장한다! | 2025-11-06 | ||
| [EP/컴파운딩] 엔발리오, 고기능 EP로 미래형 자동차 공략 | 2025-10-31 | ||
| [리사이클] 바스프, CR로 자동차 복합 폐기물 순환 | 2025-10-29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EP/컴파운딩] mPPE, 태양광·전기자동차용 호조 계속 | 2025-11-1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