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동차와 더불어 타이어 산업이 호조를 보이고 있다. 92년 타이어 생산은 3503만개로 91년대비 274만개 늘어나 7.8%의 성장률을 기록하였다. 이는 88년 이래 5년간의 연평균성장률 10.9%에 비하면 낮은 것으로 신·증설 투자로 인한 생산증가율이 91년에 가장 컸기 때문에 92년 생산증가율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교체용 타이어시장의 침체로 내수물량이 1542만개에 그침으로써 9.4%의 성장률을 수출로 돌려 2293만개를 수출함으로써 18.5%의 수출증가율을 기록하였다. 이는 91년의 판매추세와 정반대의 현상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라 60%이하로 떨어졌던 수출비중이 60% 수준으로 다시 복귀하게 되었다. 92년 타이어 수출액은 8억5530만 달러로 91년대비 17.8% 증가, 연평균 증가율 9.1%에 비해 높은 수준을 보였다. 93년 타이어 생산증가율은 17.0%, 판매증가율은 14.7%로 예상되고 있다. 이는 연평균증가율이다. 93년 생산량은 4450만개, 실제 판매가능물량은 4400만개로 예상된다. 93년 내수용 자동차 타이어는 약 880만개이며, 교체용 타이어는 차량 보유대수와 교체율에 따라 다소 수요의 변동이 있을 것이지만, 차량 보유대수가 20% 정도 증가한 것으로 보아 630만대에 대한 교체율(대당 평균 1.45개-수입타이어 제외)을 적용하면 910만개의 수요량이 산출된다. 따라서, 전체 내수용 판매량은 1790만개로 92년대비 16.1% 증가해 연평균증가율을 약간 밑돌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생산능력은 80년대초 1290만개에 불과하였으나, 각 기업들이 지속적으로 설비를 증설한 결과 80년대말 3500만개를 기록, 약 2.7배 증가하였으며, 92년말에는 4570만개로 늘어났다. 표, 그래프 : | 자동차 타이어의 원자재 사용현황 | 자동차 타이어의 내수 판매현황(품목별) | 자동차 타이어 생산현황 | 튜브레스 타이어 생산현황 | 신차용 타이어의 래디얼화율(품목별) | 교체용 타이어의 래디얼화율(품목별) | 자동차 타이어 수출실적(지역별) | 승용차용 타이어 수입현황(국가별) | 자동차 타이어 수급전망(1993) | <화학경제 1993/8/1>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합성섬유] 광섬유, 자동차 인테리어 시장 개척 | 2025-11-13 | ||
| [EP/컴파운딩] 다우, PU 순환체제를 자동차로 확장한다! | 2025-11-06 | ||
| [EP/컴파운딩] 엔발리오, 고기능 EP로 미래형 자동차 공략 | 2025-10-31 | ||
| [리사이클] 바스프, CR로 자동차 복합 폐기물 순환 | 2025-10-29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EP/컴파운딩] mPPE, 태양광·전기자동차용 호조 계속 | 2025-11-1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