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가공세에 고급안료 “대응” 국내 무기안료 시장은 전방산업의 성장세에 힘입어 자연성장률을 유지해왔으나 최근 들어 중국, 인디아의 저가공세와 선진국의 고급안료 집중화 등으로 수입제품과의 경쟁이 심해지고 있다.이에 따라 경쟁력 강화를 위한 고부가가치제품 개발이 필수과제로 지적되고 있다. 무기안료는 유기안료에 비해 선명도, 착색력, 투명성 등은 떨어지지만 유기용매이면서 불용성이라는 장점과 높은 은폐력, 내광성은 물론 섭씨 500-1000도의 고온에서 견딜 수 있는 내열성이 우수해 페인트, 아스팔트, 콘크리트, 플래스틱 외장재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 무기안료에는 백색안료 TiO2(Titanium Dioxide), 산화아연(Zinc Oxide) 등이 있고, 체질안료에는 화이트카본(White Carbon)과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 등이 있으며, 흑색안료에는 카본블랙(Carbon Black)이 있다. 카본블랙, 대체제 압박에 자동차 침체까지 국내 카본블랙 시장은 환경규제에 따른 대체제 압박으로 앞날이 불투명해지는 가운데 단기적으로는 경기침체 한파에 따른 자동차산업 붕괴로 수요가 급감했고 수입제품의 저가공세가 거세져 최대 위기를 맞고 있다. 카본블랙은 FCC-Oil(석유제품) 또는 Creosote Oil(석탄제품)을 불완전 연소 또는 열분해해 제조하는 흑색안료로 대부분 고무보강재로 사용되고 있다. 고무보강재는 70% 이상이 타이어용이고 나머지는 자동차 고무부품에 사용되기 때문에 2008년 하반기부터 찾아온 자동차산업 침체의 영향을 고스란히 받고 있다. 카본블랙 출하량은 경기불황과 대체제의 성장에 따라 2009년 1/4분기에 출하량이 8만7000톤으로 감소했다. 반면, 국내 자동차산업의 호조로 타이어 판매량이 증가해 2/4분기에는 판매량이 12만6775톤까지 회복됐다. 표, 그래프 | 카본블랙 수급동향 | 카본블랙 수입동향 | 탄산칼슘 수입동향 | Powder 수요비중 | 중질탄산칼슘 생산능력 | 아연 및 산화아연 가격추이 | 안료 출하추이 | <화학저널 2010/3/15>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염료/안료] 무기안료, 스킨케어 타고 회복한다! | 2024-01-25 | ||
| [염료/안료] 랑세스, 무기안료 트렌드 주도한다! | 2023-06-21 | ||
| [염료/안료] 랑세스, 산화철 무기안료 친환경화 | 2022-05-03 | ||
| [염료/안료] 랑세스, 프리미엄 무기안료 공개 | 2018-10-15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염료/안료] 랑세스, 아시아 무기안료 시장 공략 | 2022-04-0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