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항공기, 자동차, 신·재생 에너지의 핵심소재로 대두되고 있는 탄소소재의 국산화가 앞당겨질 전망이다. 탄소소재 조기 산업화를 위한 탄소밸리 구축(탄소소재 기술집적화) 사업이 정부의 예비 타당성 조사를 통과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탄소소재는 선진국과 기술격차는 있으나 과거 실패요인인 경제성 저하, 노하우 부족, 선진국 견제 등이 개선돼 시장진입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평가됐다. 탄소밸리 구축 사업은 탄소소재의 국산화(탄소섬유·흑연·탄소복합재)와 함께 자동차, 풍력발전기 등에 소요되는 핵심부품 등 응용기술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다. 지식경제부는 탄소소재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선형 조사결과를 토대로 신규예산을 확보해 2011년부터 기술개발과 Test-bed형 기반구축 사업을 동시에 추진할 방침이다. 지방자치단체에서는 탄소소재 중심의 테마형 집적화단지(카본밸리) 조성, 통합 서비스 지원체계 구축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기술개발과 Test-Bed 기반구축이 추진되면 생산유발효과 3조2000억원, 고용 2만명, 부가가치액 1조5000억원의 성과를 올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탄소소재는 알루미늄에 비해 75% 이상 가볍고 강도는 철의 10배 이상이어서 자동차나 항공기, 풍력발전기, 조선, 건축·토목 등의 핵심소재로 채용이 확대되고 있다. 정부가 주관하는 17대 성장동력 사업에서도 탄소소재의 활용도가 크게 늘어나고 있다. <화학저널 2010/8/23>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EP/컴파운딩] 애경케미칼, 아라미드 원료 국산화 | 2025-02-07 | ||
[배터리] 고려아연‧LG화학, 전구체 국산화 | 2025-01-21 | ||
[전자소재] 시노펙스, 반도체 나노필터 국산화 | 2024-12-17 | ||
[반도체소재] 초순수, 5년만에 국산화 “성공” | 2024-12-17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바이오폴리머] 바이오 플래스틱, SK·현대·CJ 국산화 경쟁 LG화학, 미국 PLA 철수했다! | 2025-02-14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