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수시장 포화로 수출 확대 … 유기농은 중국ㆍ인디아 시장 개척
화학뉴스 2011.04.12
국내 화장품 원료 생산기업들이 수출로 눈을 돌리고 있다.
국내 화장품 시장은 포화상태인 반면 중국, 동남아 등 신흥시장 수요가 최근 강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화장품 원료 생산기업인 KCI는 2010년 매출 100억원 가운데 85%를 수출로 달성했으며, ACT도 아시아 시장을 중심으로 수출을 검토하고 있다. SK와 KCI는 MCI/MI과 DMDM Hytantoin 등 씻어낼 수 있는 타입의 방부제를 글로벌기업에 납품하면서 해외시장 진출 활로를 넓히고 있다. 국내 화장품 원료 생산기업들은 2010년 말까지 내수시장에 80% 이상을 공급했으나 Henkel, BASF, Clariant등 글로벌기업들과 치열하게 경쟁해야 하고 중국과 인디아의 저가원료까지 장애물로 작용해 채산성이 악화되자 자연스럽게 신흥국가로 눈을 돌리게 됐다. KCI 관계자는 “KCI는 중국시장에는 대리유통 방식을 적용해 판매량이 5-7% 증가하고 있으며, 일본 둥 기술장벽이 높은 선진시장에는 현지법인을 세워 영업기반을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국내기업의 수출 확대 움직임은 수출선 다변화를 통해 채산성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으로 보이지만 아직 진입 초기단계로 활성화되려면 5년 이상의 시간과 막대한 자본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SK는 신흥시장에서 국내 화장품 원료 생산기업의 인지도가 낮은 편이지만 제품력을 인정받고 있기 때문에 추가 증설도 검토할 계획이라고 밝혔으나 구체적으로는 언급하지 않았다. <이아란 기자> <화학저널 2011/04/12>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석유화학] PET, 원료 약세 속 관망세 지속… | 2025-09-30 | ||
[바이오폴리머] CJ제일제당, 화장품 용기 PHA화 | 2025-09-17 | ||
[리사이클] PCR, 원료 회수‧추적이 핵심 | 2025-09-08 | ||
[합성고무] 합성고무, 원료·연료 안정에 하락 | 2025-09-02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석유화학] 석유화학, 원료 불확실성 확대된다! | 2025-10-02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