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화통신, 멜라민분유 2톤 돼지농가에 판매 … 기준치 515배 초과
화학뉴스 2011.07.04
불량식품 파동이 끊이지 않고 있는 중국에서 <멜라민 분유>가 돼지사료로 사용된 사실이 드러나 소비자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중국 충칭(重慶)과 청두(成都) 일대 5곳의 양돈 농가가 기준치를 최고 515배 초과한 멜라민 함유 분유를 돼지사료로 사용해온 것으로 드러났다고 중국 관영 신화통신이 7월4일 보도했다. 신화통신에 따르면, 가축용 사료 중간상인 탕(唐)모씨는 2009년 8월부터 허베이(河北) 스자좡(石家庄)에서 멜라민 분유 6.75톤을 싼값에 사들인 뒤 충칭의 양돈사료상 장(張)모씨와 청두지역 사료상들에게 판매했다. 장씨 등은 탕씨로부터 구입한 불량 분유 2톤 가량을 5곳의 양돈 농가에 어린 돼지 사료용으로 판매했다. 충칭시 사료검역소는 2010년 10월 장씨 등이 유통한 사료에서 기준치를 초과한 멜라민 성분이 검출되자 공안당국에 수사를 의뢰했으며 공안당국 조사 결과 이들이 판매한 분유에서 기준치를 최고 515배 초과한 1288g/㎏의 멜라민이 검출됐다. 공안당국은 즉각 탕씨와 장씨를 체포하고 팔다 남은 불량 분유를 압수했다. 문제의 분유를 구입한 양돈 농가들은 “어미 돼지의 젖이 부족해 어린 돼지의 이유식으로 먹였으나 설사 등의 증세를 일으켜 곧 공급을 중단했다”고 밝혔으나 소비자들은 멜라민 분유를 섭취한 돼지가 도축돼 시중에 유통됐을지 모른다며 불안해하고 있다. 중국 당국은 2008년 기준치를 초과한 멜라민 분유를 먹은 영아 6명이 사망하고 30여만명이 신장 결석 등의 질환을 앓는 <멜라민 파동>을 겪자 4월 멜라민 허용 기준치를 대폭 강화한 식품안전관리 규정을 신설했지만 불량 분유 유통이 끊이지 않으면서 중국 소비자들이 자국산 유제품 구매를 꺼리고 있다. <저작권자 연합뉴스 - 무단전재ㆍ재배포 금지> <화학저널 2011/07/04>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산업정책] 중국, 투자자본 이탈 본격화한다! | 2025-05-02 | ||
[석유화학] SM, 중국 부진에 900달러 붕괴! | 2025-05-02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페인트/잉크] TiO2, 중국산 공급과잉 전환에 친환경 프로세스 전환한다! | 2025-05-02 | ||
[에너지정책] 중국의 화학산업 혁신 ①, 그린 화학제품 생산 본격화 세계 최초 바이오제조 “성공” | 2025-05-02 | ||
[석유화학] 석유화학, 일본·중국 협력 확대한다! | 2025-05-02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