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upply PO(Propylene Oxide) 시장은 SK옥시케미칼이 생산능력 13만톤으로 독점공급하고 있으며, 99년까지는 Dow Chemical이 미국 플랜트에서 2만톤 이하를 유입해 금호케미칼에 공급함. 그러나 98년 환율상승 이후 금호가 SK로 거래선을 변경함에 따라 SK옥시케미칼은 국내시장을 100% 장악하고 있음. 따라서 98년 생산량은 공칭 생산능력을 상회하는 14만-14만5000톤을 유지한 것으로 추정됨. Demand 97년 PO 국내수요는 15만톤으로 96년대비 3.4% 증가했고 98년에는 4-5% 감소할 것으로 예상됨. PO 수요의 80%를 차지하고 있는 Polyol용은 최소 10%이상 감소할 것으로 보이나 PG (Propylene Glycol)의 가동률이 기존의 60%에서 80%까지 상승해 Polyol용 수요감소를 일부 커버할 것으로 예상됨. 기타 용도로는 계면활성제 등이 있으며 연간 3000톤 규모로 극히 미미함. 표, 그래프: | PO 수요현황(1997) | PO 가격추이 | PO 생산능력 비중 | PO 생산능력(1998) | <화학저널 1999/1/4>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화학경영] 코오롱ENP, 고부가 POM으로 수익 개선 | 2025-11-10 | ||
| [EP/컴파운딩] POM, 의료용 중심 고부가화한다! | 2025-10-01 | ||
| [에너지정책] 코오롱I, 동박적층판용 mPPO 공급 | 2025-06-27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EP/컴파운딩] POM, 중국 반덤핑 효과도 “별로” 코오롱ENP 기대 무너졌다! | 2025-11-07 | ||
| [EP/컴파운딩] 코오롱, POM 중국 수출 기대한다! | 2025-08-2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