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3년 6월 10일
일본 카본블랙(Carbon Black) 시장은 동북지방 대지진에 따른 수요 위축에도 불구하고 2011년 수요가 2010년 수준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1년 하반기에 자동차 생산이 크게 증가했고 타이어 수출도 호조를 나타냈기 때문이다. 다만, 대지진 피해로 카본블랙 생산능력이 축소되면서 수입이 급증했고, 글로벌 자동차용 고무 수요가 안정적으로 신장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본은 세계 평균에 미치지 못해 고전이 불가피한 상태이다.
자동차용 수요가 70% 차지 카본블랙은 탄화수소 또는 탄소를 포함한 화합물질을 저압·고온에서 열분해해 얻는 결정질 집합체로 하드 카본블랙과 소프트 카본블랙으로 구분된다. 하드 카본블랙은 초내마모성(SAF: Super Abrasion Furnace), 준초내마모성(ISAF: Intermediate SAF), 고내마모성(HAF: High Abrasion Furnace)이, 소프트 카본블랙은 양압출성(FEF: Fast Extruding Furnace), 범용성(GPF: General Purpose Furnace), 중보강성(SRF: Semi Reinforcing Furnace), 미립열분해(FT: Fine Thermal) 그레이드가 있다. 그래프, 도표<일본의 카본블랙 생산능력><일본의 카본블랙 수요동향>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합성고무] 카본블랙, 국제유가 약세 타고 하락 | 2025-04-01 | ||
| [합성섬유] OCI, 중국 카본블랙 법인 청산 | 2025-03-11 | ||
| [아로마틱] OCI, 열분해유 카본블랙 사업 확대 | 2024-12-23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아로마틱] 카본블랙 ②, 일본, 자동차 중심으로 침체 통합·재편으로 경쟁력 강화… | 2025-08-01 | ||
| [아로마틱] 카본블랙 ①, 자동차산업 변화에 대응 지속가능성 강화 요구된다! | 2025-07-2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