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간편하고 유지보수 부담없어 … 분산형 소용량 시장 선점 기대
화학뉴스 2014.02.26
태양열과 버려지는 열을 이용해 담수를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기계연구원(KIMM)은 에너지플랜트안전연구실 박창대 박사팀이 태양열 집열기, 축열조 등이 필요 없는 태양열 복합열원 다중효용 해수담수기를 개발했다고 2월26일 발표했다. 해수담수기는 먼저 태양열로 해수를 증발시킨 뒤 증발된 증기의 응축잠열(수증기가 액화되면서 내는 열에너지)을 다시 이용하는 방식으로 발전 후 버려지는 폐열을 이용해 효율을 높이는 것이 특징이다. 기존 태양열 해수담수기는 집열기에 모인 열을 축열조에 저장한 뒤 열교환을 통해 해수를 증발시켜 응축하는 원리로 운영됐으나 집열기 설치에 넓은 부지가 필요하고 유지보수비용이 높아 섬이나 저개발 지역에서 활용하기 어려웠다. 연구팀이 개발한 기술은 설치가 간편하고 유지보수 부담이 없어 섬이나 해안지역, 저개발 국가 등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담수 생산능력은 하루 18kg/㎡로 태양열과 5kW 발전기의 배기가스 폐열을 같이 이용하면 최대 생산능력이 50kg/㎡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창대 박사는 “하루 1만톤 이하의 담수를 생산하는 중소형 담수플랜트 시장은 전체 담수플랜트 시장의 40%를 차지하고 있지만 국내기술은 대용량 위주”라며 “연구팀이 개발한 기술로 분산형 소용량 해수담수 시장을 선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기계연구원은 프로세이브에 기술 이전을 추진하고 있으며 태양열 해수담수화 기술로 해외특허 1건을 포함한 11건의 특허를 출원했다. <화학저널 2014/02/26>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엔지니어링] SK에너지, 폐열로 191억원 번다! | 2024-06-14 | ||
[기술/특허] 포스코에너지, 폐열발전 사업 진출 | 2021-08-27 | ||
[나노소재] CNF, 해수담수화 탈염성능 “향상” | 2019-01-16 | ||
[에너지정책] 여수단지, 폐열‧가스 농업자원으로… | 2018-10-15 | ||
[디지털화] 울산단지, 해수담수화 시도할까? | 2018-06-22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