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수소 스필오버 원리 최초규명 … 금속촉매 뛰어넘는 특성 구현
화학뉴스 2014.02.26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생명화학공학과 최민기 교수 연구팀이 수소 스필오버(Spillover) 원리를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고 2월26일 발표했다.
수소 스필오버 현상은 백금 등 금속 표면에서 활성화된 수소원자가 촉매 표면으로 이동하는 현상으로 활성이 높고 안정적인 촉매를 설계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기존 촉매는 노출된 금속 표면에서 다양한 경쟁반응이 일어나기 때문에 스필오버가 발생하는 메커니즘을 규명하기 어려웠다. 연구팀이 개발한 촉매는 백금 나노입자가 수소분자만 통과할 수 있는 알루미노규산염(Aluminosilicate)으로 덮여있어 다른 경쟁반응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민기 교수는 “촉매구조를 적절히 설계하면 기존 금속촉매를 뛰어넘는 활성과 선택성을 갖춘 촉매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SK이노베이션과 미래창조과학부가 연구를 지원했으며, 국제학술지 Nature Communications의 온라인판에 2월25일 게재됐다. <화학저널 2014/02/26>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정밀화학] 에코프로, 허니컴 촉매 공장 건설 | 2025-09-08 | ||
[정밀화학] 광촉매, 친환경 용도 개척 본격화 | 2025-08-25 | ||
[에너지정책] 촉매, 화학산업 탈탄소 주도한다! | 2025-07-31 | ||
[정밀화학] AI, 수전해용 다원소 합금촉매 설계 | 2025-07-16 | ||
[정밀화학] 수소, 루테늄 촉매 경제성 “3배” | 2025-07-03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