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유4사, 국․내외 신용평가 격차 상당 … LG화학도 고평가 논란
화학뉴스 2014.08.14
국내 신용평가기업이 해외 신용평가에 비해 석유화학기업의 신용등급을 높게 평가하고 있다.
국내 대기업이 대부분 신용등급 평가에서 해외 평가기업에 비해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가운데 정유 및 석유화학 기업도 신용등급 격차가 벌어지고 있다. 특히, S-Oil, GS칼텍스, SK이노베이션, SK종합화학, LG화학 등이 해외 신용등급에 비해 국내 등급이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 Baa2는 국내 평가기업 기준으로 BBB에 해당하는 수준으로 7계단 차이가 벌어지고 있다. GS칼텍스도 국내 평가기업 3사에게 AA+로 평가되고 있으나 무디스는 Baa3로 평가하고 있어 국내 평가기업 기준으로 BBB-에 불과해 8단계 격차가 벌어졌다. SK종합화학도 국내에서는 AA로 평가받았으나 해외에서는 Baa2로 평가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LG화학 역시 국내 평가에서 AA+를 기록하고 있으나 무디스는 A3로 국내기준 A- 수준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현대오일뱅크는 국내에서 신용평가를 AA- 받았으며 해외 평가 이력은 없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나 국내 신용등급이 높은 수준임을 감안해 해외 신용등은 Baa2-Baa3 수준에 불과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NICE신용평가, 한국신용평가, 한국기업평가는 기업 평가등급이 대부분 일치하고 있어 평가등급을 담합하고 있다는 의혹이 증폭되고 있다. 정유 및 석유화학 뿐만이 아니라 대부분 신용평가기업이 평가한 기업 신용등급이 3사 모두 획일화 된 것을 감안하면 신용등급이 조작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시장 관계자는 “국내 신용평가기업의 주 수입원인 평가 수수료를 대기업이 지급하고 있기 때문에 대기업의 입김이 작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내 신용평가기업은 대부분 국내 시장 경쟁력을 중심으로 신용등급을 평가하고 있어 해외 평가보다 높게 평가하고 있으나 획일화된 평가 방식으로 국한돼 폭넓은 평가체계를 확립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허웅 기자> 표,그래프: < 국내․외 신용등급 기준 > <화학저널 2014/08/14>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석유화학] 석유화학, 금융권도 재편 압박 | 2025-09-30 | ||
[화학경영] 금호석유화학, 경영권 분쟁 재점화 | 2025-09-30 | ||
[화학경영] 태광산업, 석유화학 재편 속도낸다! | 2025-09-29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석유화학] 석유화학, 원료 불확실성 확대된다! | 2025-10-02 | ||
[석유화학] 석유화학 재편 ② - 일본, 통폐합에 차별화 강화 스페셜티도 안심 못한다! | 2025-09-26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