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211억200만달러로 33% 급증 … 스마트폰 성장에 PC수요 회복
화학뉴스 2014.09.01
스마트폰 보급 확대와 PC 수요 회복에 힘입어 D램 반도체 시장이 2년 연속 고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나타났다.
IHS에 따르면, 2014년 상반기 D램 매출액은 211억200만달러로 2013년 상반기에 비해 무려 33% 늘어났으며 현재 추세를 지속하면 2014년 전체 매출액은 428억700만달러로 2013년에 비해 22% 증가할 것으로 나타났다. D램 매출액이 400억달러를 넘어선 것은 PC산업이 최전성기였던 1995년 408억달러 이후 19년만이다. D램시장은 제조기업들의 치열한 경쟁 속에 주기적으로 호·불황을 반복했으나 400억달러를 넘어서지 못했다. 스마트폰 시장이 급속도로 확대된 2010년에는 매출액이 396억7600만달러까지 증가했으나 2011년 295억6800만달러로 26% 급감한데 이어 2012년 264억1800만달러로 11% 줄어들며 2년 연속 감소추세를 지속했다. 그러나 2013년 350억1500만달러로 33% 급증하며 3년 만에 회복세로 돌아섰다. 2014년 D램시장 확대는 스마트폰에 사용되는 모바일D램 수요가 꾸준히 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D램 제조기업들이 모바일D램에 집중하느라 PC용 D램 생산량을 줄이면서 하락세를 지속하던 PC용 D램 가격이 2013년 급반등한 것도 D램 시장의 회복요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아울러 2014년 4월 마이크로소프트가 윈도우XP에 대한 정기적 보안패치 등 기술지원을 종료하면서 PC를 신형으로 교체하려는 수요가 늘면서 PC 시장이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따라 2014년에도 D램 출하량이 크게 늘어난 가운데 가격은 안정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2014년 1기가비트로 환산한 세계 D램 출하량은 459억700만개로 2013년 368억3000만개에 비해 25% 증가한 반면, 평균 판매단가는 0.93달러로 2013년 0.95달러에 비해 2% 하락하는데 그칠 것으로 나타났다. <화학저널 2014/09/01>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제약] 삼성바이오, 매출액 3조원 돌파 | 2023-02-03 | ||
[배터리] 양극재, 매출액 예상치 못 미친다! | 2022-12-19 | ||
[제약] 삼성바이오, 매출액 2조원 돌파 | 2022-10-26 | ||
[화학경영] 포스코케미칼, 매출액 1조원 “돌파” | 2022-10-24 | ||
[화학경영] 애경케미칼, 매출액 4조원 “목표” | 2021-09-07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